'오픈뱅킹' 나도 써볼까? 서비스 1주일, 장단점은…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2019.11.09 07:31
글자크기

[머니가족]

편집자주 머니가족은 50대의 나머니 씨 가족이 일상생활에서 좌충우돌 겪을 수 있는 경제이야기를 알기 쉽게 전하기 위해 탄생한 캐릭터입니다. 머니가족은 50대 가장 나머니씨(55세)와 알뜰주부 대표격인 아내 오알뜰 씨(52세), 30대 직장인 장녀 나신상 씨(30세), 취업준비생인 아들 나정보 씨(27세)입니다. 그리고 나씨의 어머니 엄청나 씨(78세)와 미혼인 막내 동생 나신용 씨(41세)도 함께 삽니다. 머니가족은 급변하는 금융시장에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올바른 상식을 전해주는 것은 물론 재테크방법, 주의사항 등 재미있는 금융생활을 여러분과 함께 할 것입니다.

머니가족 나정보 / 사진=임종철머니가족 나정보 / 사진=임종철


# ‘직장인 초년병’ 나정보씨가 기억하는 통장은 3개다.

초등학생 때 어머니께 떠밀려 세뱃돈으로 만든 A은행 어린이적금 통장, 대학생 때 입학금과 등록금을 내기 위해 학교 입점은행에 만든 B은행 통장, 입사와 함께 회사 주거래인 C은행에 개설한 월급통장까지. 하지만 지난달 30일 C은행의 오픈뱅킹 서비스에 가입한 나씨는 2개의 통장을 더 발견했다. 첫사랑 그녀와 함께였던 D은행의 데이트통장은 십수년 전 몽글몽글한 추억을 되살렸고, 첫 이별의 아픔을 안겼던 군대 시절의 E은행 월급통장까지. 30년 나씨의 뜨겁고 차가웠던 순간이 오픈뱅킹을 통해 한자리에 모였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오픈뱅킹 시범서비스 1주일 만에 102만명이 가입했다. 이들이 A은행 앱에 등록한 B·C·D 등 여타 은행 계좌는 183만개였다. 등록 후 실제 오픈뱅킹을 활용한 거래는 1215만건으로, 잔액조회가 894만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출금·이체도 22만건이었다. 더 편리한 금융 거래를 경험하려는 적극적인 금융소비자들이 적지 않다는 증거다.


가입은 번거롭지만…이용은 간편
국민은행 오픈뱅킹 / 사진=변휘국민은행 오픈뱅킹 / 사진=변휘
현재 오픈뱅킹 시범서비스에 나선 금융회사는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기업·부산·제주·전북·경남 등 10개 은행이다. 가입은 아직 ‘번거롭다’는 평가가 많다. 은행마다 가입 절차가 제각각이다. 예컨대 신한은행은 신분증 촬영과 상담원 영상통화 등을 거쳐야 하고, 국민은행은 ARS(자동응답시스템) 전화인증, 우리은행은 보안카드와 공인인증서 인증 등을 거친다.



다음 문턱은 계좌번호다. 대부분 은행 앱이 오픈뱅킹에 등록하려는 타 은행의 계좌번호를 이용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했다. ‘간편이체’에 익숙한 모바일 뱅킹 이용자 상당수가 계좌번호를 일일이 기억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불편하다. 신한은행은 공인인증서 정보를 바탕으로 타행 계좌번호를 자동으로 제공해 비교적 수월했지만, 공인인증서 외 기타 인증수단을 이용하는 타행 계좌는 마찬가지로 계좌번호를 직접 입력해야 했다.

이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금융위원회는 오는 11일부터 은행마다 순차적으로 계좌번호 자동입력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계좌번호의 덫’을 피하려면 오픈뱅킹 가입을 조금 미루는 것도 방법이다.

가입 문턱을 넘으면 이용 만족도는 높은 편이다. 어렵사리 등록만 해 놓으면 A은행 앱에서 타행의 내 계좌정보를 한 눈에 조회할 수 있다. 다만 입출금계좌만 조회 가능하고 예·적금 정보는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체의 경우 A은행 앱에서 B은행-C은행 잔고를 오가도록 하는 ‘타행간 송금’은 국민·신한 등에서만 가능하다. 대부분 은행은 A앱에서 A↔B·A↔C 간 거래만 가능한 상태다. 시범서비스 중인 만큼 차차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내가 몰아줄 은행, 선택은?
102만명의 가입자, 1215만건의 거래횟수는 한 사람이 여러 은행 앱의 오픈뱅킹 서비스에 가입하고, 역시 여러 은행 앱으로 조회·이체 등을 시도해 본 횟수가 포함된 결과다. 서비스 초기 각 은행의 사전가입 독려와 경품 이벤트 등이 뜨거웠던 점을 고려하면, 초반 흥행으로 보기엔 ‘허수’가 적지 않다.

현재 은행마다 내놓은 오픈뱅킹 서비스는 대동소이하다. 시범서비스 기간인 탓에 은행마다 ‘비장의 카드’를 내보이지도 않고 있다. 현재로서는 한 곳에 정착하기보다는 각 은행의 모객 전략을 즐길 때다. 각종 가전제품과 모바일 쿠폰 등 경품은 물론 ‘현금’도 쏜다.

신한은행은 새로 선보인 ‘MY자산’에 여러 자산을 추가하면 최대 500만원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며, NH농협은행도 오픈뱅킹에 타 은행 계좌를 등록해 급여이체 등을 하면 최대 300만원을 준다. 하나은행도 오픈뱅킹 가입 조건으로 최대 100만 하나머니를, 국민은행은 100만원 현금에 더해 ‘희귀템’인 삼성전자 갤럭시 폴드, 우리은행은 백화점 상품권과 에어팟, 다이슨 드라이어, 기업은행은 애플 아이폰11 등을 각각 경품으로 내걸었다.

오픈뱅킹, 꼭 해야할까
10개 은행이 오픈뱅킹 서비스를 야심차게 내보였지만 토스·뱅크샐러드 등 기존 핀테크 플랫폼을 통해서도 ‘내 계좌 모아보기’와 송금·조회 등은 가능했던 만큼 ‘큰 효용성을 못 느낀다’는 의견도 있다. 지금처럼 단순 조회·이체 이상을 선보이지 못한다면 금융시장의 큰 변화를 불러오기 역부족일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다만 소비자가 흩어져 있는 자신의 금융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고, 이른바 ‘주거래’ 금융회사를 손쉽게 바꿀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금융회사들은 긴장하고 있다. 또 데이터 집중을 통한 PFM(개인형자산관리) 서비스 토대가 마련돼 자산가가 아니더라도 개인 맞춤형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금 당장은 아닐 수 있지만 여러 가지 개인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오픈뱅킹 서비스를 받아볼만 하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