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세계 최초 '완전 자율주행차' 달린다

머니투데이 세종=권혜민 기자 2019.10.15 16:00
글자크기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 발표…2030년 국내 신차 셋 중 하나는 전기·수소차로

2027년 세계 최초 '완전 자율주행차' 달린다


2030년 전세계 전기·수소차 시장의 10%가 한국차로 채워지고, 국내 신차 중 전기·수소차 비중은 33%로 늘어난다. 2027년에는 세계 최초로 완전 자율주행차가 전국 주요 도로를 달린다. 정부가 내놓은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 청사진이다.

정부는 15일 경기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미래자동차 국가비전 선포식'을 열고 이같은 내용의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대변혁 車산업…'미래차 전환'을 기회로= 정부가 로드맵을 내놓은 것은 '미래차 전환'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최근 세계 자동차 산업은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다. 내연기관차 시대가 지고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 비중이 확대 추세다. 구글 등 정보통신(IT) 선두기업들은 자율주행이 가능한 '똑똑한 자동차'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한국도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자동차 산업은 지난해 기준 국내 제조업 전체 생산액의 13%, 수출액의 11%, 고용의 11%를 차지한 국가 핵심 산업이다. 대응이 늦어지면 국가 경제의 성장동력까지 잃을 수 있다.



정부는 차츰 열리는 미래차 시장을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30년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비전과 부문별 목표와 추진전략을 세웠다.

◇2030년 전기·수소차 세계 시장점유율 10%로= 먼저 전기·수소차 국내 신차 판매비중을 올해 2.6%에서 2030년 33%로 늘릴 계획이다. 세계시장 점유율은 4%에서 10%까지 끌어올린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30년까지 승용차부터 트럭·버스까지 친환경차 라인업을 모든 차종으로 넓힌다. 전기차는 고급세단과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소형트럭, 수소차는 중대형트럭과 SUV가 중심이다.

보조금 개편과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성능 개선도 유도한다. 전기차의 경우 2025년까지 한번 충전으로 600㎞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40분이 걸리는 충전 시간을 15분으로 줄인다. 2022년까지 수소차 내구성을 50만㎞로 강화하고 부품 100%를 국산화한다. 현재 7000만원대에 달하는 차량 가격은 2025년 4000만원대로 떨어뜨린다.


2022년까지로 예정된 친환경차 구매 보조금 지원과 2022년, 2021년 각각 일몰되는 개별소비세·취득세 인하 제도의 경우 연장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수소 가격은 2030년까지 현재의 50% 수준으로 낮춘다.

충전인프라도 대폭 확충한다. 현재 전국에 31기 뿐인 수소충전소는 2030년까지 660기로 늘린다. 주요도시에서 20분 이내에 충전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급속 전기충전기는 매년 1500기 이상 설치해 현재 5427기에서 2025년 1만5000기까지 확대한다.

◇2027년 세계최초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정부는 자율주행차도 미래먹거리로 집중 공략하기로 했다. 2024년까지 필요한 제도·인프라를 완비해 2027년 세계 최초로 완전자율주행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운전자를 보조하는 수준을 넘어 운전자 없이 단독 주행이 가능한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을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현대차는 2024년 완전자율차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는 개발된 자율주행차가 실제 도로를 누빌 수 있도록 차량통신 인프라, 정밀지도, 교통관제 시스템, 도로 신호등·안전표지 일치화 등 4대 인프라를 전국 주요 도로에 구축한다. 자율차 제작 안전기준과 사고책임 규정, 보험제도 등 법·제도를 완비한다. 시스템·부품·통신 분야 기술개발에 집중 투자해 경쟁력 강화와 국산화도 지원한다.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자율주행 서비스 시장은 자율셔틀·자율택시·화물차 군집주행 상용화 등 민간 주도 3대 서비스와 교통약자 이동지원, 무인 순찰 등 9대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확대한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 '플라잉카(flying car)'는 2025년 실용화를 추진한다. 전용도로 확보와 교통체계 기반기술 개발, 안전기준 제·개정을 통해 실증·시범사업이 가능하도록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번 대책에는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위한 지원책도 담겼다. 우선 단기적 자금난 해소와 미래차 설비 확충 등에 2조원 이상을 공급한다. 2025년까지 핵심인력 2000명을 양성하고 글로벌 공급망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해외 업체 수요에 맞춘 수출연계형 R&D와 마케팅도 지원한다. 전체 부품기업 중 전장부품 기업비중을 4%에서 23%까지 늘리는 게 목표다. 소재·부품 전용펀드 등을 통해 핵심소재·부품 자립도도 현재 50%에서 80%로 끌어올린다.

정부는 2024년까지 부처 합동 미래차 전략회의를 신설해 미래차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길 방침이다. 또 완성차·부품사는 물론 IT 기업까지 참여하는 '미래차산업 얼라이언스', 양대노총·업계로 구성된 '노사정포럼' 운영을 통해 미래차 로드맵 추진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세계 생산 7위의 자동차 강국인 우리에게 미래차 전환은 자동차 산업이 크게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며 "미래차 전환이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산업 전반의 혁신동력도 크게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