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 휩쓴 '빈곤퇴치' 3인방…누구?

머니투데이 세종=최우영 기자 2019.10.14 20:15
글자크기

빈곤퇴치 향한 기존 거시적 관점 벗어나 미시·정책적 접근에 대한 사회적 실험 매진

/사진=노벨상 트위터/사진=노벨상 트위터


2019년 노벨경제학상은 빈곤퇴치와 저개발국의 발전과 가난한 사람들의 삶의 질 개선에 매진해온 개발경제학자들에게 돌아갔다. 불평등과 빈곤 퇴치 문제 역시 주류경제학이 고민해야 할 과제라는 걸 노벨위원회가 인정한 셈이다.

14일(현지시간)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마이클 크리머 하버드대 교수(55), 아브히지트 배너지 MIT 교수(58), 에스더 듀플로 MIT 교수(47)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김부열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세 수상자는 1990년대 이후 개발경제학을 미시경제학적 관점으로 재편하는 작업을 주도했다"며 "가난한 사람들의 삶을 직접 개선할 수 있는 교육·농업·환경 관련 프로그램을 평가해 작동 방식을 분석하면서 의학에서 많이 쓰이는 무작위통제 실험방법론을 도입한 분들"이라고 설명했다.

◇마이클 크리머는 누구?=마이클 크리머 교수는 개발도상국의 빈곤퇴치를 위한 방법론 연구에 전념한 개발경제학자다. 과거 경제성장의 동력을 거시적 측면에서 찾아왔다면 크레머 교수는 실제 가난한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시적 측면에서의 방법을 추구해왔다.



케냐에서 진행한 크리머 교수의 '구충제 실험'이 유명하다. 기생충에 감염된 아이들에게 구충제를 나눠준 결과 건강뿐만 아니라 출석률과 성적까지 획기적으로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이는 전세계에 정책으로 확산됐다.

크리머 교수의 대표적 이론인 '오-링 이론'(O-Ring Theory)은 저개발국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에 대한 이론이다. 경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에 높은 기술 수준을 지닌 집단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 교수는 "오-링 이론의 핵심은 개발도상국에도 특출난 개개인이 있을 수 있지만 개인이 개발을 이끌기는 힘들기 때문에 일정한 수준의 높은 역량을 갖춘 기술집단이 갖춰져야 경제가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크리머 교수는 성장을 위한 저소득층 교육의 중요성도 외쳐왔다. 그는 2016년 6월 국내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교육과 경제성장의 선후를 가릴 수는 없지만 서로 영향을 미치는 건 분명하다"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저소득층도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역할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크리머 교수는 인구의 증가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는 맬서스의 인구론도 반박했다. 크리머 교수는 인구가 늘어날수록 기술 개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진다고 봤다. 이에 따라 생산성이 진보하고 생산량이 늘어난다는 것. 즉 적정한 수준의 인구 증가가 있어야 기술의 진보가 보장된다는 것이다.

◇아브히지트 배너지·에스더 듀플로는 누구?=배너지 교수와 듀플로 교수는 빈곤의 실상을 탐구하고 빈곤퇴치를 위한 공공정책의 역할을 강조해온 부부 개발경제학자다.

MIT에서 배너지 교수로부터 배운 안상훈 KDI 국제개발협력센터 소장은 "배너지와 듀플로는 과거에 변두리 취급을 받던 발전경제학, 빈곤경제학을 경제학 연구의 한복판으로 끌어왔다"며 "빈곤문제를 둘러싸고 경제원조의 효과 등에 대해 설왕설래하던 시절 듀플로 등은 구체적으로 작은 문제를 풀 수 있는지, 그 작은 방법이 정말 효과가 있는가 등을 탐구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배너지와 듀플로 교수는 크리머 교수와 마찬가지로 의약품 임상실험처럼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정책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MIT에서 사제→동료→연인 사이로 발전한 배너지와 듀플로는 JPAL(Jameel Poverty Action Lab, 자밀 빈곤퇴치연구소)이라는 단체를 세워 전세계 50여개국에서 700여건의 개발경제학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이들과 불참한 이들을 추적한 뒤 삶에 나타난 변화를 관찰했다.

JPAL이 에티오피아, 가나, 온두라스, 인디아, 파키스탄, 페루에서 2만1000명을 상대로 자산관리 교육, 현금 지원, 직업교육 등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들이 훨씬 더 많은 자산을 모으고 저축하는 성과를 보였다.

김부열 교수는 "배너지와 듀플로 교수는 다양한 개발경제학 실험을 통해 많은 개발도상국과 국제기구의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많은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며 "노벨경제학상은 당연하고 노벨평화상을 줘도 아깝지 않을 분들"이라고 바라봤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