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세]고경력 과학자의 은퇴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19.10.16 04:00
글자크기

편집자주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 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들이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입니다.

오늘날 산업 발전을 이끌어온 이른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된 가운데, 과학기술 분야도 전문인력·기술 공백 문제가 현실화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 따르면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올해부터 내년까지 약 500여명의 연구자가 정년퇴임한다. 비교적 규모가 큰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경우 올해 30~40명이 한꺼번에 연구소를 떠난다. 연구 단절·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지난 10일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카이스트(KAIST) 등 전국 4대 과학기술원 또한 15년내 퇴직하는 50대 이상 교원이 30%에 달한다고 전망했다. 수십년간 막대한 예산을 지원해 성장해온 고경력 과학기술인들이 제 역량을 더 발휘하지 못하고, 현장을 떠나는 건 국가 인력 활용 면에서 마이너스이다. 특히 지난 노벨과학상 화학 부문에서 최고령 수상자(존 B. 굿이너프·97세)가 탄생했고, 최근 20년간 노벨과학상 수상자 중 60대 이상이 72.84%였다는 통계는 현재 노(NO)벨상인 우리 연구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런 측면에서 최근 은퇴 후에도 연구 및 산업 현장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하자는 논의가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는 것은 시의적절하다. 각각의 논의는 은퇴자들의 활용 방안에 우선적으로 초점이 맞춰진다. 최근 일본의 수출 규제와 관련해 장기투자가 절실한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R&D(연구·개발)에서 기계전문가 협동조합의 중소기업 지원 활동은 그 본보기로 꼽힌다. 기계전문가 협동조합은 한국기계연구원 출신 퇴직 과학자들로 이뤄져 있다. 중소기업에 한 달에 2번 정도 들러 기술 자문을 하고 있는데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데 적잖은 도움을 보태고 있다는 평가다.

국내 과학기술인 협동조합은 지난 3월 말 기준 332개가 설립됐다. 지난해 말 기준 개인조합원 2889명 중 고경력 과학기술인 조합원 비율이 29.2%를 차지한다. 경력 단절 여성과학기술인들의 참여도 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아직 생활비를 충당할 정도의 보수가 따르는 건 아니라서 더 이상 늘리는데 한계가 있다. 정부 및 연구재단 등에서 수행하는 각종 평가, 공학교육인증 실사 업무 등에선 평가자를 못 구해 안달이라고 한다. 이런 곳에 은퇴 과학자들을 쓰면 일정 부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은퇴 과학기술인 활용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보다 다양하고 정교한 정책과 제도 수립, 집행 노력이 필요하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