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북, "트럼프 '허위' 광고 내려달라" 바이든 요청 거절

머니투데이 남수현 인턴 2019.10.10 18:05
글자크기

'바이든 부패' 강조하는 트럼프 재선광고, CNN만 송출 거부

미국 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 조 바이든 전 부통령 /사진=AFP미국 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 조 바이든 전 부통령 /사진=AF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스캔들'로 탄핵 정국에 휘말린 가운데, 조 바이든 전 부통령에 대한 의혹을 다룬 재선 캠페인 광고가 페이스북 등 여러 매체들에 노출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9일(현지시간) CNBC, 복스 등 미 언론들은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자신에 대한 허위 주장이 포함된 트럼프 캠프의 재선 광고를 내려줄 것을 페이스북에 요청했지만, 페이스북이 이 요청을 거절했다고 보도했다.



2020년 대선을 앞두고 재선을 위한 선거 운동에 돌입한 트럼프 캠프는 최근 각종 방송사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 광고를 게재하기 시작했다. 이중 30초 길이의 영상 광고 하나에는 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부에 자신의 아들 회사를 수사 중인 검사를 해고하면 10억 달러를 줄 것을 약속했다"고 주장하는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바이든 전 부통령이 자신의 아들 헌터의 부패 연루 혐의를 덮기 위해 빅토르 쇼킨 전 우크라이나 검찰총장의 해임을 추진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은 아직 명확한 근거로 뒷받침된 바가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 중 바이든 전 부통령 관련 의혹을 조사할 것을 압박한 것이 드러나 탄핵 정국에 몰렸지만 오히려 '바이든의 부패'를 주장하며 역공을 하고 있다.



이에 CNN은 3일 이 같은 영상 광고가 "여러 언론에서 명백히 허위로 입증된 주장을 하고 있다"며 송출을 거부할 뜻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CNN을 제외한 MSNBC와 폭스 등 방송사와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등 뉴미디어 플랫폼은 여전히 해당 광고에 대해 아무런 제재를 취하지 않고 있다.

페이스북은 바이든 캠프 측의 삭제 조치 요청에 되레 트럼프 캠프의 광고가 자사 광고 규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내용의 답변서를 보냈다. 페이스북은 이 서신을 통해 "자유로운 언론이 있는 성숙한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치적 발언은 이미 가장 면밀히 검토되는 발언"이라며 "따라서 우리는 정치인의 발언이나 광고를 제3의 팩트체커에게 보내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같은 페이스북의 결정에 대해 바이든 캠프 측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트럼프 재선 광고와 같은) 영상이 퍼지도록 내버려두는 것은 여론을 오염시키고 민주주의를 갉아먹는다"고 반발했다.


미국 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사진=AFP미국 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사진=AFP
바이든 전 부통령과 민주당 경선에서 맞붙는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페이스북이 최근 정치광고 관련 정책을 변경한 것이 트럼프 대통령과 연관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하고 나섰다. 페이스북은 최근 정치광고 관련 규정을 기존에 '기만적, 허위 혹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 콘텐츠'를 금하던 것에서 '제3의 팩트체커 또는 특정 분야의 전문지식을 지닌 단체에 의해 사실이 아님이 입증된 주장을 포함한 광고'를 금지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워런 의원은 이 같은 규정 변경이 트럼프 대통령과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만난 이후 이뤄졌다며 "대중은 페이스북이 2020년 대선에 자신들의 영향력을 어떻게 쓰려고 하는지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016년 대선 당시 SNS가 가짜뉴스 확산에 활용됐던 사실에도 불구하고 페이스북이 정치인의 발언을 관리하는 일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결심을 굳힌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미 온라인매체 복스 역시 페이스북의 이번 결정이 2020년 대선 정국에서 펼쳐질 정치광고와 정치인들의 주장에 대해 '불길한 미래'를 예고한다고 논평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