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의 중국밀착…中 ‘인도 압박’ 카드 될까

머니투데이 임소연 기자 2019.10.10 18:47
글자크기

'일대일로·인도 견제' 파키스탄 접촉강화…'인도시장 손실·인도태평양전략 약화' 우려도

지난달 10일(현지시간) 인도 정부가 잠무-카슈미르의 주 지위 박탈을 결정한 후 시니라가르에서 인도군이 길을 통제하고 있다/사진=로이터지난달 10일(현지시간) 인도 정부가 잠무-카슈미르의 주 지위 박탈을 결정한 후 시니라가르에서 인도군이 길을 통제하고 있다/사진=로이터


인도와 카슈미르 지역 영유권을 놓고 갈등 중인 파키스탄이 중국과 밀착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중국 인민일보에 따르면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는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을 전날 만나 ”카슈미르 분쟁에 관련해 (파키스탄을) 지지하고, 어려울 때 재정적 지원을 해준 데 대해 감사하다“고 했다.

칸 총리는 1년 만에 중국을 세 차례나 방문했다. 인도와 영토분쟁을 겪으면서 지역 내 강자 중국의 지지를 얻어내기 위해서로 해석된다. 칸 총리는 시 주석과 600억 달러(66조 원) 중국-파키스탄 경제 회랑(CPEC)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CPEC는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일부로, 중국은 파키스탄과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를 넘어 미국 영향력에 맞서는 지역적 협력을 구상하고 있다.



시 주석은 이날 "중국과 파키스탄의 관계는 유일무이한 전략적 파트너"라면서 "중국은 파키스탄의 정당한 권리와 이익 수호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인도-파키스탄 갈등에서 중국이 일단 파키스탄 편을 든 것이다.

이를 두고 중국이 경제·무역 분야에서 인도를 압박하고자 ‘카슈미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인도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한 축으로서 중국의 영향력을 차단하려는 미국·일본과 협력하고 있다. 인도는 연내 일본과 상호군수지원협정(ACSA) 체결도 계획 중이다. 이런 인도의 외교가 중국이 파키스탄 편을 들게 만든 이유 중 하나라는 게 일부 전문가들 분석이다.



중국은 다만 같은 이유에서 인도를 간 보고 있기도 하다. 시 주석은 건국 70주년 행사 이후 첫 해외 방문국으로 인도를 택했다. 시 주석은 11~12일 이틀 동안 인도를 찾아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회담할 예정이다. 회담을 앞두고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시 주석의 인도 방문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응하는 성격을 지닌다“고 보도했다. 특히 회담에서 중국은 미국의 화웨이 제재 속에서 인도 시장을 지킬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매체는 전했다.

인도도 국경을 맞댄 경쟁국 중국이 파키스탄 쪽에 기울기보다 최대한 중립을 지키게 만드는 게 이득이다. 인도 외교부는 9일 성명을 통해 "첸나이 회담은 양국 간에 지역, 세계 중요 이슈 등에 대한 논의를 지속하고 인도와 중국의 긴밀한 발전 파트너십을 논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나라야니 바수 인도 외교전문가는 "현재 중국은 여러 국내외 이슈에 직면해 있어 카슈미르에만 초점을 맞출 순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도 언론들도 "시 주석이 모디 총리와의 만나 카슈미르 문제를 거론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번 회담은 양국 교역 증진과 경제협력에 초점 맞춰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중국이 카슈미르를 어떻게 활용할지 단정적으로 예측할 순 없다. 중국도 카슈미르 지역 일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인도와 직접 부딪혀왔다. 지난 8월 인도 정부가 잠무-카슈미르의 주(州) 지위를 박탈하고 잠무-카슈미르, 라다크로 분리해 연방 직할지로 직접 통치하겠다고 결정하자 파키스탄뿐만 아니라 중국도 이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인도 최북단에 있는 라다크는 잠무-카슈미르 동쪽에 자리 잡은 지역으로 중국과 맞닿은 곳이다. 라다크는 인도가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지역으로 1962년 중국과 인도가 영유권을 놓고 무력 충돌을 벌인 이후 아직도 국경분쟁이 해소되지 않은 지역이다.

외신들은 외교전문가들을 인용해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싸움에 직접 뛰어들지, 파키스탄 쪽에서 인도-미국 전선에 본격적으로 맞설지, 전략적 모호성으로 인도를 회유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