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 위구르 인권문제에 '행동'으로 답…中 28개 단체 제재(종합)

뉴스1 제공 2019.10.08 09:55
글자크기

공안·기업 등…세계 최대 CCTV 제조사도 포함
고위급 무역협상 앞두고 中 인권문제 거론하며 '압박'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서울=뉴스1) 이원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7일(현지시간) 위구르족 등 소수민족의 인권을 침해했다는 이유로 중국 신장웨이우얼(위구르) 자치구 정부와 중국의 CCTV 제조 업체 등 모두 28개 단체를 상대로 제재를 단행했다.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을 코앞에 둔 시점에서 중국 내 인권 문제를 부각하면서 중국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로이터통신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이날 관보를 통해 신장위구르 자치구 인민정부 공안국과 19개 산하 정부기관, 중국 기업 8곳 등 모두 28개 단체를 블랙리스트에 올렸다고 발표했다.

8개 기업에는 세계 최대 CCTV 업체인 하이크비전을 비롯해 다화 테크놀로지, 메그비테크, 아이플라이크, 센스타임, 샤먼 메이야 피코 인포메이션, 이투 테크놀로지 등이 포함됐다.



상무부는 "이들 기관·기업들은 신장 위구르족, 카자크족을 비롯한 이슬람 소수민족에 대한 중국의 탄압, 대규모 구금, 첨단기술을 통한 감시 등으로 인권침해와 유린에 연루됐다"고 설명했다.

윌버 로스 상무장관은 "중국 내 소수민족에 대한 잔혹한 탄압을 용인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이번 제재 대상 명단에 신장 자치구 내 지방정부 공안부서와 신장 경찰대학이 함께 포함됐다고 전했다.


미국의 제재 대상에 오르면 미국 내 자산이 동결되고 미국 정부의 승인 없이는 미국 기업과의 거래를 할 수 없게 차단된다.

특히 하이크비전과 다화는 감시카메라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 세계 1, 2위를 달리는 업체.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8월에도 자국 정부기관이 하이크비전, 다화의 제품을 구매하지 못하도록 제재를 했었다.

블룸버그는 미국 정부가 인권을 이유로 중국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올린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미중 무역전쟁의 전선이 인권 분야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이번 제재 조치는 미중 양국이 오는 10일부터 이틀간 워싱턴DC에서 고위급 무역협상을 진행할 예정인 가운데 발표돼 주목된다. 이에 상무부 대변인은 "이번 조치는 미중 무역협상과 무관하다"고 밝혔다.

중국 항저우에 있는 감시카메라 제조 업체 하이크비전 본사. © AFP=뉴스1중국 항저우에 있는 감시카메라 제조 업체 하이크비전 본사. © AFP=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