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현장]네이버·카카오 "선거기간 실검 중단, 선관위와 논의해 검토"

머니투데이 김주현 기자, 이지윤 기자 2019.10.02 16:47
글자크기

"조국 관련 실검에서 매크로 현상 발견되지 않아"…카카오 "실검 알고리즘 공개 방안 고민해보겠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오른쪽)와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가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사진=홍봉진 기자;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오른쪽)와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가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사진=홍봉진 기자


네이버와 카카오 (40,650원 ▲250 +0.62%)가 선거 기간동안 실시간검색어 서비스를 일시 중단하는 방안을 선거관리위원회와 논의해보겠다고 2일 밝혔다. 또 조국 법무부 장관 관련 실시간검색어에서 기계적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와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진행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말했다.



조국 법무부 장관 관련 실시간검색어가 기계적으로 조작된 것이 아니냐는 윤상직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의에는 두 대표 모두 "기계적으로 나타나는 매크로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윤 의원은 "선거 기간이되면 특정세력이 포털 실검을 장악할 수 있다"며 "선거기간 동안 일시적으로라도 실시간검색어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이 어떠냐"고 질문했다.



이에 한성숙 대표와 여민수 대표는 "사업자 개별적으로 결정할 문제는 아니고 선관위 등 유관 단체와 논의해보고 사회적 합의가 만들어진다면 검토해볼 수 있다"고 했다.

윤 의원은 "조국 장관 관련 실검 조작이 없었다면 실시간검색어 클릭수와 알고리즘을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여 대표는 "해당 알고리즘과 클릭수는 일반인에게 공개되면 다른 악용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면서도 "공개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보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특정 단체가 이른바 '좌표'를 찍고 조직적 검색을 하는 것이 여론조작이 아니냐는 질문에 여 대표는 "여론 조작 여부는 플랫폼 사업자가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라며 "특이하게 발생하는 검색은 신중하게 바라보고 있고 대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