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나, 결제 하나만"…남동생인줄 알았는데 '그놈'이었다

머니투데이 진경진 기자 2019.09.28 07:30
글자크기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시 즉시 피해금 환급 신청

"누나, 결제 하나만"…남동생인줄 알았는데 '그놈'이었다


“누나 바빠? 안 바쁘면 대신 결제 하나만 해줘. 돈은 늦어도 오후까지는 돌려줄게.”

금융감독원이 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의 사기 수법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활용하는 키워드가 가족, 취업, 대출, 정부기관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 심리가 약해질 수 있는 포인트를 활용한 것이다.

특히 과거 금융기관이나 정부 기관을 사칭한 보이스 피싱이 많았다면 최근에는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해 메신저로 금전을 요구하는 수법이 늘고 있다.



금감원은 가족이나 지인이 메신저를 통해 금전을 요구하는 경, 유선으로 상대방을 먼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대방이 통화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신분을 확인할 수 있을 때까지 요구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

자녀가 다쳤거나 납치됐다는 전화 역시 마찬가지다. 이 때 주변 사람들의 연락처를 이용해 자녀가 안전한지 여부를 먼저 확인하는 게 필요하다.



최근 취업난이 심해지면서 취업을 활용한 사기도 증가하고 있다. 피해자에게 합격 통보를 하면서 급여계좌 등록과 출입증 발급을 위해 통장이나 체크카드를 요구하는 식이다. 통장번호를 알려 주면 대포통장으로 쓴다. 출입증 발급이나 급여계좌를 위해서는 보안 관련 정보가 필요 없다. 이때 필요한 정보는 본인 명의 계좌번호 뿐이다.

“△△캐피탈인데요, 고객님 신용등급은 낮지만 대출이 가능합니다.” 급전이 필요한 이들을 노린 전화나 문자를 통한 대출 광고는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일 가능성이 높다. 전화나 문자를 통해 대출을 권유하면 대응하지 않거나 금융사에 실제 상품 존재 여부를 문의해야 한다. 또 대출을 권유하는 사람이 금융회사 직원인지 또는 정식 등록된 대출 모집인지 확인해야 한다.

저금리로 정부 지원 자금을 받게해 준다며 은행을 사칭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저금리 대출을 받기 위해선 고금리 대출 기록이 있어야 한다고 피해자를 속이는 방법을 활용한다.


고전적인 방식이지만 정부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도 여전하다. 하지만 검찰이나 경찰, 금감원 등 정부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전화로 자금 이체 또는 개인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기관의 대표번호로 전화해 사실 여부를 알아봐야 한다. 인터넷에서 금감원 팝업창이 뜨고 금융거래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것 역시 100% 보이스 피싱이다.

이 외에 출처가 불명확한 파일이나 이메일, 문자는 클릭하지 말고 삭제해야 한다. 자칫 악성 코드에 감염돼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보이스피싱 피해가 이미 발생했다면 즉시 경찰이나 해당 금융사에 신고 후 피해금 환급 신청을 해야 한다. 해당 계좌에 피해금이 인출되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 피해금 환급제도에 따라 별도의 소송 절차 없이되찾을 수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