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환경상 "후쿠시마 오염수 바다에 버릴 수밖에"

머니투데이 정한결 기자 2019.09.10 15:55
글자크기

"안전적인 면에서나 과학적으로 문제 없다"

일본이 보관 중인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사진=AFP.일본이 보관 중인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사진=AFP.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내 방사성 오염수를 "바다에 버릴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10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하라다 요시아키 일본 환경상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해 "(바다로) 방출해 희석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원자력 규제위원회 위원장도 '안전적인 면에서나 과학적으로도 문제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방출에 따른 피해에 대해서는 "국가가 다양한 노력을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하라다 환경상은 그러면서 "앞으로 정부 전체에서 (오염수 처리 문제를) 신중히 의논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내 얘기는) 단순한 의견으로 들어줬으면 좋겠다"고 선을 긋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의 환경 정책을 총괄하는 환경상이 이같은 발언을 하면서 일본 정부가 사실상 해양 방류를 결정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발생한 폭발사고로 후쿠시마 제1원전의 핵연료는 그대로 녹아내렸다. 일본은 사실상 이 핵폐기물을 전혀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데, 녹아내린 핵연료의 97%는 아직 원전 내부에 보관돼 있다. 여기에 지하수가 스며들면서 매일 100~400톤가량의 방사성 오염수가 생성되고 있다.

일본은 이 오염수를 희석해 원전 내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지만 막대한 비용이 들자 방류 의사를 지속적으로 언급해왔다. 특히 스며드는 지하수를 막을 방법이 없는 상황 속 2022년에는 물탱크가 포화상태에 이르고 2030년에는 오염수가 현재 100만톤에서 200만톤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최근에는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가 일본이 이를 태평양에 그대로 방류할 계획이라고 지적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에 일본은 "공식 입장이 아니다"며 "현 시점에서 구체적인 결론을 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