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불확실성 견디느니…" 삼성·LG 잇단 국산 대체 배경 보니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 2019.09.04 17:34
글자크기

수율·생산효율 정상화 등 완벽대체까지 시일 필요…"경쟁질서 재편, 새 기회로 활용해야"

"日 불확실성 견디느니…" 삼성·LG 잇단 국산 대체 배경 보니


"장기 불확실성 대신 단기 손실을 선택했다." "언제고 불거졌을 문제를 이참에 최대한 빨리 털어내고 가기로 한 것이다."

4일 삼성전자의 고순도 불화수소 국산 대체 소식이 전해지자 업계와 학계에서 이런 얘기가 나왔다. LG디스플레이에 이어 삼성전자까지 국내 업계의 잇단 일본산 불화수소 대체를 두고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고육지책성 해법이지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탈일본·국산화 두 달만의 성과 = 당초 국산화를 포함한 소재 공급처 다변화에 3~6개월가량 걸릴 것으로 예상됐지만 실제 대체 작업은 훨씬 앞당겨졌다. 일본 정부가 지난 7월4일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불화 폴리이미드 등 핵심소재 3종에 대한 수출규제에 나선 이후 불과 두 달 만이다.



국산 대체 소재가 기존 일본산 소재를 완벽하게 대체하는 수준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 평가다. 같은 순도의 소재라고 해도 제조공정에 따라 성분·성질을 미세하게 조정해야 하고 때로는 투입하는 소재에 맞춰 공정도 손봐야 해 기존 공정만큼의 수율(합격품 비율)과 생산효율을 내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전문가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손실을 감내한 전략적 결정"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삼성전자도 반도체 모든 공정에 국산 불화수소를 투입하기 시작한 게 아니라 민감도가 낮은 1~2개 공정부터 일본산 대체에 나섰다. 반도체 공정은 500~600개가량으로 구성되는데 불화수소가 쓰이는 공정은 이 가운데 50개 안팎이다. 반도체 공정절차를 고려하면 대략 10월 말 전후로 대체 불화수소가 투입된 메모리반도체 수율이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 경영진 결단이 발빠른 대응으로 이어져 = 반도체업계에서 빠르게 소재 대체 작업에 착수할 수 있었던 것은 최고경영진의 결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등 국내 업계에선 지난해 하반기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을 두고 일본의 강경대응 가능성이 제기됐을 때부터 구매팀을 중심으로 물밑 대응을 시작했다. 하지만 막상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에 나서자 적잖게 당황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 업계 인사는 "사태가 터지가 경영진에서 곧바로 대체 작업 착수를 지시했다"며 "기업 경영에서 가장 큰 리스크가 불확실성인 만큼 핵심소재 공급 문제에서 기업이 감당할 수 있는 선을 넘어선 정치·외교적 사안이 터지자 단기손실을 감내하기로 전략적 판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日 불확실성 견디느니…" 삼성·LG 잇단 국산 대체 배경 보니
국내 소재·부품업계에선 새로운 기회에 대한 기대감을 굳이 감추지 않는 분위기다. 당장 삼성전자나 LG디스플레이에 국산 고순도 불화수소를 공급하는 것만 해도 상상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한 소재 업체 엔지니어는 "중소기업은 자체적으로 테스트해볼 라인이 없어서 그동안 눈을 감고 개발하는 것이나 다름없었는데 이제 국산화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생기기 시작했으니 여러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기찬 가톨릭대 교수는 "대외적으로는 글로벌가치사슬 구조가 변화하고 경쟁질서가 새로 재편되는 상황"이라며 "일본의 수출규제는 지난 20년 동안 묶여 왔던 중소기업들이 기술독립을 할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日 업계 동요…"추가규제 가능성 신중해야" = 삼성전자 등의 핵심소재 대체 작업이 가시화되면서 일본 소재업계의 동요도 감지된다. 글로벌 최대 고객사인 한국업체가 돌아설 경우 상당한 매출 타격을 감내해야 하기 때문이다.

1990년대 세계 반도체 에폭시수지 물량의 60%를 생산했던 스미토모화학이 제조공장 폭발사고로 감산한 사이 삼성전자가 중국, 대만으로 공급처를 다변화한 사례가 있다. 당시 스미토모화학은 공장을 정상 가동한 뒤에도 수익성을 회복하지 못하고 해당 사업을 대만 업체에 매각했다.

다만 일본의 추가규제에 대한 국내 업계의 우려 역시 여전하다. '수출규제 3종 세트' 외에도 실리콘웨이퍼, 블랭크마스크, 섀도마스크, 반도체 공정장비 등은 일본 의존도가 높거나 단기간 대체하기 어려운 품목으로 꼽힌다.

한 업계 인사는 "국내에서 국산화 성과를 알리고 싶어도 혹시 모를 일본의 추가규제 가능성 때문에 쉬쉬하는 부분이 많다"며 "한일 국민감정까지 얽힌 사안이기 때문에 기업에서도 극도로 신중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