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끌고 정부가 밀고…시스템반도체도 '극일'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 2019.08.21 17:07
글자크기

내년 투자예산 3배 넘게 증액…소재 국산화·공급처 다원화 속도

삼성이 끌고 정부가 밀고…시스템반도체도 '극일'


"일본 수출규제로 타격받는 건 메모리 반도체보다 비메모리, 시스템반도체죠. 삼성전자도, 정부도 이런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탈일본화'에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봅니다."

정부가 21일 총 4조7000억원을 투자하는 혁신성장전략의 일환으로 시스템반도체 육성 지원을 위한 1차 계획을 내놓은 데 대한 반도체 업계의 반응이다. 삼성전자 (77,600원 ▼2,000 -2.51%)가 2030년 세계 1위를 목표로 시스템반도체사업 강화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민관이 모처럼 손을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 계획안에서 내년도 시스템반도체 직접 투자예산은 2300억원 규모다. 올해 예산(726억원)의 3배가 넘는 규모다. 정부는 원천기술 개발부터 장비 시험과 성능 평가 등 테스트베드 단계까지 일괄 지원할 방침이다. 지난 4월말 시스템반도체를 집중육성사업으로 선정, 10년 동안 1조여원의 투자와 세제 혜택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첫 후속정책인 셈이다.

눈에 띄는 것은 나노팹 장비 고도화 등 소재·부품·장비 분야 지원책이다. 한 달여 동안 이어지고 있는 일본 정부의 반도체 핵심소재 수출규제와 맞닿은 부분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부터 7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m) 이하 EUV(극자외선) 파운드리 공정용 포토레지스트(감광재)의 한국 수출규제를 시작했다. 삼성전자가 전량을 일본의 신에츠케미칼, JSR, 도쿄오카(TOK)에 의존하는 소재다.



국내에선 금호석유화학, 동진쎄미켐 등이 포토레지스트를 생산하지만 일본 업체의 기술력을 따라잡기까지 최소 3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일본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소재 수출규제로 한국의 시스템반도체 육성 계획을 겨냥했다는 얘기가 나오는 게 바로 이 때문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시장점유율이 아직 높지 않기 때문에 일본 수출 규제로 생산량이 줄어도 대만의 TSMC(시장 1위·올 2분기 점유율 49.2%) 등에서 공급받으면 된다는 생각이 업계의 일반적 견해"라며 "일본 정부 입장에선 세계 IT 업계에 큰 파장을 미칠 수 있는 메모리반도체를 피해 상대적으로 파급력이 작은 시스템반도체를 노렸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일본 규제 직후 시스템반도체 생산라인에서 220여 개에 달하는 일본산 소재를 국산이나 미국, 유럽 등 제3국 소재로 교체하는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변수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 탈일본화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선 정부의 시스템반도체 투자계획으로 삼성전자 등의 탈일본 작업에 한층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한 재계 인사는 "일본 수출규제에서도 확인됐지만 비상사태에 대비해 소재 공급처를 업체뿐 아니라 국가별로 다원화하는 게 이상적"이라며 "특정 국가나 업체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