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환경公, 방폐물 핵종분석 오류 재발 막는다

머니투데이 세종=권혜민 기자 2019.08.13 17:25
글자크기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방폐물 핵종농도 분석오류 재발방지 대책 마련…예비검사 강화, 교차분석 신설

경북 경주시 양북면에 위치한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전경./사진제공=한국원자력환경공단경북 경주시 양북면에 위치한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전경./사진제공=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방폐물 핵종농도 분석오류 사건을 계기로 장단기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

앞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15년 이후 원자력연구원이 경주 방사성폐기물처분장(방폐장)에 인도한 방폐물의 핵종농도 분석 오류에 대한 특별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600드럼 중 2111드럼에서 오류가 있었다고 적발했다. 이에 원자력연구원과 공단에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도록 했다.



사건이 알려진 이후 경주 방폐장은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중저준위 방폐물 인수와 처분이 중단돼 있다. 공단은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분하고 국민 신뢰를 높이기 위해 지역과 협의해 지난 1월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했다. 조사단은 11월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공단은 방폐물 핵종분석 오류 재발방지를 위해 △예비검사 강화 △핵종 교차분석 신설 △검사역량 강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방폐물 발생자와 협약을 통해 예비검사 단계에서 공단이 핵종분석 과정을 확인해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기로 했다. 핵종분석 장비 검·교정 여부와 방사능계측기 출력자료 관리실태, 핵종분석결과 등이 확인 대상이다.

또 현재는 방폐물 발생자가 수행하고 있는 핵종분석에 대해 공단이 교차분석을 실시해 핵종분석 데이터의 상호 신뢰성 검증 절차도 새로 만들기로 했다.

여기에 더해 핵종 분석과정 자료와 핵종 교차분석에 필요한 검사인력을 육성하고, 전담조직도 신설하기로 했다. 월성지역본부 내에 '방사능 검증팀(가칭)'을 만들어 핵종분석과정자료검사와 교차분석 업무를 맡길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자체 분석역량을 확보해 해당업무를 수행하기로 했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 자체 핵종 분석시설과 인력 확보를 위해 외부 전문기관 자문, 관련 부처협의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공단 관계자는 "향후 유사 사례가 발생되지 않도록 재발방지 대책을 착실히 이행하고 국민과 투명하게 소통해 더욱 안전한 방폐장으로 거듭나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