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 아저씨에게 '해피엔딩'은 없었다[체헐리즘 뒷이야기]

머니투데이 남형도 기자 2019.08.10 06:00
글자크기

발가락 잃고 뇌경색 재발에 간암 발병까지…"어떤 때는 울음도 안 나와요"

편집자주 지난해 여름부터 '남기자의 체헐리즘(체험+저널리즘)'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뭐든 직접 해봐야 안다며, 공감(共感)으로 서로를 잇겠다며 시작한 기획 기사입니다. 매주 토요일 아침이면, 자식 같은 기사들이 나갔습니다. 꾹꾹 담은 맘을 독자들이 알아줄 땐 설레기도 했고, 소외된 이에게 200여통이 넘는 메일이 쏟아질 땐 울었습니다. 여전히 숙제도 많습니다. 그래서 차마 못 다한 이야기들을 풀고자 합니다. 한 주는 '체헐리즘' 기사로, 또 다른 한 주는 '뒷이야기'로 찾아갑니다.

지난해 겨울, 최진철씨(55)와 폐지를 함께 모았다. 그와 헤어지며 부디 삶이 조금이나마 가벼워지길 바랐었다. 7개월만에 만난 그는 조금 더 앙상해져 있었고, 발가락 하나를 잘랐다고 했고, 암 수술을 앞두고 있었다. 나도 모르게 고갤 숙이고 말았다./사진=남형도 기자지난해 겨울, 최진철씨(55)와 폐지를 함께 모았다. 그와 헤어지며 부디 삶이 조금이나마 가벼워지길 바랐었다. 7개월만에 만난 그는 조금 더 앙상해져 있었고, 발가락 하나를 잘랐다고 했고, 암 수술을 앞두고 있었다. 나도 모르게 고갤 숙이고 말았다./사진=남형도 기자


폐지 아저씨에게 '해피엔딩'은 없었다[체헐리즘 뒷이야기]
땡볕에 나가기 싫다고 투덜댈 때였다. 버스에서 내리기 전 마지막 에어컨 바람을 붙잡고 있었다. 간신히 정류장에 발을 내딛었을 때 '우우웅'하고 전화 진동이 울렸다. 최진철씨, 7개월 만에 보는 이름이었다.





찬바람이 두 뺨을 얼얼하게 했던 지난해 12월, 그와 함께 폐지를 주웠었다. 잘 나가던 중식 주방장이던 그는, 뇌경색으로 쓰러져 몸 왼쪽에 장애가 남았다. 잘 걷고 말하는 일상적인 일조차 사치스런 추억이 됐다. 밥줄이 끊긴 뒤 붙잡은 게 손수레였다. 그와 하루 종일 폐지를 줍고, 165kg을 모았고, 1만원을 손에 쥐었다. 그날 처음 알았다. 그 한 장의 무게가 그렇게 무거운 것인지. 돌아오는 길, 배고팠지만 떡볶이 한 접시를 사 먹지 못했다.

어렵게, 또 오래 붙잡았던 기사가 나갔다. 그를 돕고 싶어 댓글을 남겼다. 처음으로 부탁을 했다. 치아가 많이 안 좋은데 식사라도 제대로 하게 도와달라고. 치료해줄 분을 찾는 거였는데, 메일이 200통이나 쏟아졌다. 너나 할 것 없이 단돈 몇 만원이라도 보태겠단다. 월급쟁이라, 주부라, 야간 편의점 알바라 넉넉지 않아 미안하다며. 그의 계좌번호를 대신 알려줬다. 먹먹하고 맘이 저려서, 그날 하루는 도통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



며칠 뒤, 회사에서 최씨의 전화를 받았다. 수화기 너머로 꺽꺽 우는 소리가 들렸다. "고마워요, 너무 고마워요"란 말만 되풀이하고 있었다. 낯간지러워 "제가 한 것 하나도 없다. 잘 지내셔야 한다"며 황급히 전화를 끊었다. 그러고 나니 뜨거운 게 목구멍에서 눈까지 차올랐다. 회사인 것도 잊고 주책맞게 울어버렸다. 그의 삶이 조금이나마 나아가기를, 간절히 응원했었다.



'해피엔딩'인줄 알았다
지난해 12월 영하 날씨에 최진철씨와 폐지를 함께 주웠던 기자. 기우뚱하는 손수레를 함께 부여잡고 갔던 기억이 난다. 누군가 지탱해줄 이도 없는 삶이란 생각에 나도 모르게 힘을 더 줬었다./사진=남형도 기자 셀카지난해 12월 영하 날씨에 최진철씨와 폐지를 함께 주웠던 기자. 기우뚱하는 손수레를 함께 부여잡고 갔던 기억이 난다. 누군가 지탱해줄 이도 없는 삶이란 생각에 나도 모르게 힘을 더 줬었다./사진=남형도 기자 셀카

그 일은 내겐 나름의 '해피엔딩'으로 끝났지만, 삶을 더 지탱해야 할 그에겐 그러지 못했다.

오랜만에 목소릴 들려준 그는 웬일인지 또 울고 있었다. 감정이 북받쳐 뭔가를 호소했다. 정확히 알아들을 순 없었지만, 심상찮단 걸 직감했다. 일단 만나러 가겠다고 약속한 뒤 전화를 끊었다. 네 모서리가 조금씩 깨진, 핸드폰 액정을 멍하니 바라봤다.

그리고 7일 오전, 최씨를 만나러 갔다. 좁고 허름한 집 한편에 앉아 있었다. 팔과 다리가 앙상하게 더 말라 보였다. 대체 무슨 일이냐고 물었다.

그를 처음 만나 폐지를 주웠고, 기사가 나갔던 지난해 12월 얘기부터 했다. 감사하게도 후원금이 꽤 들어왔단다. 치과치료를 무상으로 해주겠단 의사도 있었단다(서대문구 홍제동의 road치과, 영어 해석 필요, 좋은 곳은 꼭 알리고 싶어서). 덕분에 틀니도 했고, 식사도 잘할 수 있게 됐다. 그는 재차 "너무 감사했던 일"이라고 울먹이며 회상했다. 기초생활수급자인 터라, 후원금은 부족한 생활비에 보태서 썼다. 자녀들에게도 용돈을 주며 모처럼 아빠 노릇도 했단다.



발가락 절단, 뇌경색 재발, 간암 판정…한 달새 벌어진 일
최진철씨의 얘길 듣다가, 좁다란 집안에 걸린 십자가를 보며, 그를 바라보는 신의 뜻이 대체 무엇일까를 생각했다. 벼랑 끝에서 버티는 삶은 언제까지 이어질까./사진=남형도 기자최진철씨의 얘길 듣다가, 좁다란 집안에 걸린 십자가를 보며, 그를 바라보는 신의 뜻이 대체 무엇일까를 생각했다. 벼랑 끝에서 버티는 삶은 언제까지 이어질까./사진=남형도 기자
잠시 잊고 있던 불행은 7월부터 다시 고개를 슬며시 들었다. 지병이었던 당뇨가 문제가 됐다. 합병증으로 왼쪽 둘째 발가락을 절단하게 됐다.

회복한 뒤 어떻게든 걸어보려 했다. 여느 때처럼 폐지를 줍고, 집에 돌아왔다. 그런데 그만 쓰러졌다. 뇌경색이 재발한 것이다. 그게 지난달 말이었다. 병원에 실려갔다.

뇌경색으로 병원에 5일간 입원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더 알게 됐다. 간암이라고 했다. 몇 기냐고 했다. 경황이 없어 못 물어봤단다. 22일에 간암 수술을 받는다고 했다. 간암이면 위험하다고 알고 있어서, 아는 내과 의사에게 물어봤더니 "그래도 수술을 하는 건 기수로 3기 이내, 적어도 재발 위험성이 적다고 판단되는 경우"라고 했다.

여하튼 믿기 좀 힘들었다. 이 모든 일이 한꺼번에 벌어졌단 게. 그래서 확인하고 싶었다. 발가락은 눈으로 직접 봤다. 있어야 할 자리에 하나가 없었다. 그래서 제대로 걷기도 힘들게 됐단다. 병원에 입원했던 서류도 다 확인했다. 기록이 다 있었다. 사실이었다.



"내가 무슨 죄를 지었나 싶어요"
최진철씨의 폐지 손수레가 묶여 있던 자리엔 아무 것도 놓여 있지 않았다. 제대로 걷기 힘든 그는 이제 폐지도 편히 주을 수 없다./사진=남형도 기자최진철씨의 폐지 손수레가 묶여 있던 자리엔 아무 것도 놓여 있지 않았다. 제대로 걷기 힘든 그는 이제 폐지도 편히 주을 수 없다./사진=남형도 기자
맘껏 불행할 여유도 없다. 간암 수술비가 걱정이란다. 기초생활수급자에 의료급여 1종이라, 다행히 병원비 지원이 된다. 지금까진 후원금으로 이래저래 막았단다.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혹시 병원비를 못 내면 붙잡아 가느냐"는 물음에 말문이 막혔다. 그런 일은 없을 거라고 했다. 걱정돼 송파구청에 문의하니, 산정특례로 병원비 지원이 거의 된단다. '거의'가 어느 정도냐고 재차 캐물으니, 입원비와 식대 지원이 된단다. 그래도 부족하면 긴급 의료비 지원이 있고, 그래도 안 되면 모금 성금도 한단다. 의심이 많은 터라, 계속해서 지켜볼 예정이다.

답답해서 연락했단 그의 손을 말 없이 잡았다. 뭐라 위로할 말을 찾지 못했다. 뭐라도 하겠다고, 맘 단단히 먹으라 했다. 하지만 최씨를 바라보고 얘길 듣는 동안, 실상 내 맘도 이미 무너졌었다. 벼랑 끝에 위태롭게 매달려 있다, 이젠 곧 떨어질 것 같은 그의 삶을 짐작했다. 듣는 것만으로 버겁고, 숨이 턱 끝까지 차올랐다. 집안 한편에 걸려 있는 교회 달력이 눈에 들어왔다. 그에게 더 가혹한 시련을 주는 신의 뜻이 무엇일지 생각했다.

"어떤 때는 울음도 안 나와요. 내가 무슨 죄를 지었나 싶어요. 죄를 지은 것도 없는데…"

걸음을 절다 울먹이다, 그리 어렵게 문 앞까지 배웅하던 최씨의 마지막 말이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