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7군단장, 환자에 인식표 달고 체력단련 강요"

머니투데이 김영상 기자 2019.08.08 12:06
글자크기

군인권센터 "1달간 95건 제보 받아…7군단장 즉각 보직해임해야"

8일 오전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이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윤의철 7군단장이 만들라고 지시한 인식표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김영상 기자8일 오전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이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윤의철 7군단장이 만들라고 지시한 인식표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김영상 기자


육군 7군단에서 체력 단련 시 환자 목에 이름과 병명을 적은 인식표를 달아 따로 관리했다는 폭로가 나왔다. 해당 군단장이 부대별로 환자 TO를 정해놓고 그에 맞춰 환자 수를 줄이라고 요구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시민단체 군인권센터는 8일 오전 서울 마포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병 건강권을 침해하는 윤의철 육군 7군단장(육사 43기·중장)을 즉시 보직해임하라"고 주장했다. 센터는 지난달 4일부터 약 1달간 인권침해 집중상담을 실시해 총 95건의 제보를 받았다.



센터에 따르면 윤 중장은 "체력단련 제한 인원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7군단은 예하부대 소속 환자에게 부착할 목걸이 형태의 인식표를 만들었다. 가로 20㎝ 세로 11.5㎝ 길이의 이 표에는 소속, 이름, 병명, 담당 군의관 등이 담겨 있었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가축을 등급별로 하자 표시하듯 환자에게 낙인을 줘 수치심을 주겠다는 의도"라며 "질병 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민감 정보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이며 실정법 위반 소지도 있다"고 지적했다.



윤 중장이 부대별로 정해 놓은 환자 TO에 맞게 인위적으로 환자 수를 줄일 것을 요구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중대급 지휘관이라고 밝힌 제보자는 "부대에서 무릎 부상 등으로 20명 정도가 행군이 어려워 보이는데 5명 수준으로 줄이라고 한다"며 "환자의 상태가 경미할 때 쉴 수가 없으니 계속 중환자를 양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밝혔다.

센터는 잇따른 문제 제기에도 윤 중장이 고집을 꺾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 중장은 "체력단련을 열심히 하는 부대는 사망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요즘 병력의 80%는 의지가 없는 용사들인데 과연 국가의 미래가 될 수 있겠나" 등 발언을 했다고 한다.


앞서 청와대 국민소통광장 게시판에는 육군7군단에서 고문 수준의 훈련으로 환자가 속출하고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날씨에도 체력단련을 진행했다는 내용이 담긴 글이 올라오면서 논란이 됐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