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경제도발]소재 국산화 본격화…주가 탄력받나

머니투데이 김사무엘 기자 2019.08.02 13:40
글자크기

일본 규제 장기화 전망…반도체 등 첨단소재 국산화 필요성↑, 관련업체 주가 주목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수출 심사 우대국)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수출무역관리령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한 2일 서울 중구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화이트 리스트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사진=김창현 기자일본이 화이트리스트(수출 심사 우대국)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수출무역관리령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한 2일 서울 중구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화이트 리스트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사진=김창현 기자


일본의 한국 수출 규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반도체 등 첨단 소재의 국산화 필요성도 더욱 절실해졌다. 정부도 국산화 속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한 만큼 국내 주요 소재업체들의 수혜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날 일본 정부의 한국 화이트리스트(전략물자 수출심사 우대국) 배제 결정으로 국내 주요 반도체 소재 업체들의 주가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으로 주목 받는 업종은 반도체 핵심 소재인 불화수소 생산업체다. 불화수소는 반도체의 식각(불필요한 부분을 깎아내는 작업)과 세정에 사용되는 필수 소재인데, 일본이 전세계 공급량의 70~80%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지난달 4일부터 포토리지스트(감광액),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함께 고순도 불화수소를 수출규제 대상으로 적용하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국내에도 불화수소를 생사하는 업체가 있지만 순도나 품질이 일본 제품보다 떨어져 그동안 일본산 제품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히려 일본의 규제로 국내 불화수소 업체는 재조명 받게 됐다. 이번 기회에 반도체 국산화율을 높이면 국내 주요 소재 업체들도 수혜를 입을 것이란 기대감도 커졌다.

액체 불화수소를 생산하는 솔브레인 (46,400원 ▼200 -0.43%)은 지난 7월 한 달 동안 주가가 37.6% 상승했다. 이날도 전일 대비 2100원(3%) 오른 7만2000원에 거래 중이다. 바로투자증권에 따르면 솔브레인은 국내 최대규모의 불산 제조업체로 그동안 일본 협력사로부터 고순도 불화수소를 공급받았으나 향후 원재료 내재화 성공 가능성이 높은 업체로 꼽힌다.

불소화합물을 생산하는 후성 (7,800원 ▼130 -1.64%)은 6월말 6790원에서 7월 16일 1만2100원으로 2주 동안 2배 가까이 올랐다가 최근 하락세지만 이날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으로 주가는 다시 2% 상승한 9140원에 거래 중이다. 국내 최초로 NF3(삼불화질소)를 국산화한 SK머티리얼즈 (402,900원 ▼10,100 -2.45%) 역시 현재 17만2100원으로 6월말보다 16% 올랐다.


이번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으로 수출 규제 품목은 1000여개로 늘어난다. 반도체 소재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2차 전지 등 첨단소재 대부분이 규제 대상에 걸려 해당 분야 국산화가 주요 이슈로 떠오른다.

증권업계에서도 첨단소재 업체에 계속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양국 간 갈등이 해결되더라도 소재 국산화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중장기적으로 관련 업체들에 대한 정부 지원과 투자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내년에 1조원 규모의 소재·부품 연구개발(R&D) 예산을 반영하고 연구개발 세액공제 확대 등 세제혜택도 지원할 계획이다.

하나금융투자는 주목해야 할 업체로 원익IPS, 케이씨텍, 이오테크닉스 등을 꼽았다. 이 업체들은 일본의 반도체 공정장비 업체인 고쿠사이 일렉트릭(Kokusai Electric), 에바라(Ebara), 시바우라(Shibaura), 디스코(Disco) 등의 경쟁사다.

2차 전지 업계에서는 전지소재를 감싸주는 파우치 필름이 일본의 수출규제 대상이다. KB증권에 따르면 파우치 필름은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어 2차 전지를 생산하는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은 타격이 예상되나 필름을 생산하는 코오롱인더스트리, 효성첨단소재, SKC 등은 수혜를 입을 것으로 분석된다.

김경민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정치적 이슈와 별개로 수출 규제 이슈가 해결되더라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소재, 부품, 장비 국산화의 명분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일본 업체들과 경쟁 가능할 정도로 제품 수준 높고 실적 안정성 뛰어난 기업들의 중장기 매력이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