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8개월째 마이너스…"日 규제 영향은 아직"

머니투데이 세종=권혜민 기자 2019.08.01 11:36
글자크기

(상보)7월 수출 461.4억弗, 전년비 11%↓…대일본 수출 0.3%, 수입 9.4% 감소

28일 오후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선박에 컨테이너 적재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18.12.28./사진=뉴시스28일 오후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선박에 컨테이너 적재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18.12.28./사진=뉴시스


한국 수출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8개월 연속 감소했다. 미중 무역분쟁에 일본 수출규제까지 각종 대외 악재가 겹치며 향후 수출 전망도 밝지 않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7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461억4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11% 줄었다. 같은 기간 수입은 437억달러로 2.7% 감소했다. 이에 따른 무역수지는 24억4000만달러로 90개월 연속 흑자를 거뒀다.



수출 증가율은 8개월째 감소세다. 지난해 12월(-1.7%) 마이너스로 전환한 이후 올 들어서도 1월(-6.2%), 2월(-11.3%), 3월(-8.4%), 4월(-2.1%), 5월(-9.7%), 6월(-13.7%) 등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는 2015년 1월부터 2016년 7월까지 19개월 연속 수출이 줄어든 이후 최장기간 감소세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도 18억5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4.5% 감소했다.



산업부는 지난달 수출 감소 배경으로 반도체 업황부진과 단가 하락, 국제유가 회복 지연에 따른 석유화학・석유제품 부진 등을 꼽았다. 여기에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와 일본 수출 규제 등 대외 여건이 부정적으로 기울면서 상황이 더 악화했다는 분석이다.

6월 감소했던 수출물량이 증가세로 전환한 점은 긍정적으로 봤다. 단가 하락세가 정상화할 경우 수출 반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수출물량은 전년대비 2.9% 늘었다. 1~7월 누적 수출물량도 0.8% 증가했다.

품목별로 보면 수출 비중이 가장 큰 반도체 부진이 뼈아팠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28.1% 감소했다. 수출물량은 14.9% 늘었지만 단가가 37.7% 급락한 영향이다. 석유화학(-12.4%), 석유제품(-10.5%) 등도 수출 감소폭이 컸다.


반면 자동차(21.6%), 자동차부품(1.9%), 가전(2.2%) 등 주력품목과 바이오헬스(10.1%), 화장품(0.5%), 농수산식품(8.7%) 등 신수출동력품목 호조세는 이어졌다. 특히 자동차 수출은 4개월 연속 증가했다. 2017년 5월 이후 처음있는 일이다.

지역별로는 중국(-16.3%), 미국(-0.7%)으로의 수출이 감소했다. 유럽연합(EU)(0.3%), 아세안(ASEAN)(0.5%), 독립국가연합(CIS)(14.5%)에 대한 수출은 늘었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자료=산업통상자원부
지난달 대(對) 일본 수출은 전년대비 0.3%, 수입은 9.4% 줄었다. 다만 산업부는 7월 수출입 통계에 일본 수출규제 영향은 본격 반영되지는 않은 것으로 평가했다. 최근 대일 수출입 현황과 유사한 흐름이 이어졌다는 이유에서다. 올해 상반기에도 대일본 수출은 6.0% 감소했다. 최근 전체 수출 하락세에 따라 대일 부품·소재·장비 수입의 감소세도 진행 중이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달 1일 일본 수출규제 발표 이후 7월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는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정부는 미중 무역분쟁과 일본 수출규제 조치 등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향후에도 수출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봤다. 이에 무역금융과 수출 마케팅, 수출구조 4대 혁신방안 등 수출지원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 '수출 활력 촉진단 2.0'을 확대해 일본 수출규제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주요 20개 업종 대상 설명회를 열고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공유하기로 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현재 수출부진 상황에 대해 엄중한 위기의식을 갖고 하반기에도 수출 총력지원 체계를 지속 가동해 수출 활력이 조기에 회복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이 화이트 리스트 배제 조치를 취할 경우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민관의 역량을 총동원해서 철저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