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재무장관 "아마존이 소매시장 파괴"…反독점 조사 찬성

머니투데이 뉴욕=이상배 특파원 2019.07.25 05:36
글자크기

"아마존이 경쟁 제한했다는 데 의심의 여지 없다"…아마존 "중소기업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 반박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


미국 법무부가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등 거대 IT(정보기술) 업체에 대한 반(反)독점 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에 대한 조사에 찬성 입장을 내놨다.

므누신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 경제방송 CNBC에 출연, "아마존이 주는 이점이 분명히 있다"면서도 "미국 전역의 소매업계를 파괴했기 때문에 그들이 경쟁을 제한했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윌리엄 바 법무장관이 이것을 조사한다는 것은 매우 좋은 것"이라면서 "중요한 문제이고, 법무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그의 권고를 듣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므누신 장관은 "아마존이 중소기업에 실제로 큰 피해를 입힌 부분이 있다"고도 했다. 그는 아마존을 대형 유통업체 월마트와 비교하면서 "그들의 경쟁적 관행은 유사한 점도, 다른 점도 있다"며 "사람들이 월마트의 독점에 대해 우려를 했지만 월마트는 중소기업들이 월마트와 경쟁을 계속할 수 있는 사업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한편 아마존은 므누신 장관의 발언에 대해 "중소기업들은 아마존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며 "독립 판매업자들이 아마존의 총 상품 판매의 5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아마존은 전세계 소매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면서 "우리 점유율은 전세계 소매업의 1% 미만, 미국 소매업의 4% 미만이다. 소매 매출의 90% 이상은 여전히 오프라인에서 발생한다"고 했다.

전날 법무부는 성명을 통해 인터넷 검색, 소셜미디어, 소매판매 서비스 등을 지배하는 온라인 플랫폼들의 행태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법무부는 특히 이들의 경쟁제한 행위와 이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집중 조사하겠다고 했다.


법무부가 직접 적시하진 않았지만 이는 사실상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과 페이스북, 아마존을 지목한 것이라고 외신들은 해석했다.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최근 미국 반독점당국인 법무부와 FTC(연방거래위원회)는 구글과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등 이른바 IT '빅4'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분담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

일각에선 2020년 대선에서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에 유리한 정치 지형을 만들기 위해 진보적 성향으로 알려진 미디어 기업들에 대한 길들이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구글과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 업체들이 온라인상에서 '보수적' 목소리를 억압하고 있다고 비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에도 폭스비즈니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 행정부가 구글과 페이스북 등을 상대로 소송을 걸어야 한다"며 날을 세웠다.

아마존의 경우 소셜미디어가 아닌 전자상거래 업체지만 제프 베조스 CEO(최고경영자)가 '반 트럼프' 진보 성향 매체인 워싱턴포스트(WP)를 함께 지배하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