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리사이클링 특구 지정... 이차전지 산업 중심지 부상

머니투데이 안동(경북)=심용훈 기자 2019.07.24 14:56
글자크기

2050년, 세계시장 600조원 예상... 차세대 신산업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사업 흐름도'/사진제공=경북도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사업 흐름도'/사진제공=경북도


경북도가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돼 미래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중심지로 떠오를 전망이다.

24일 도에 따르면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14개 시·도의 34개 규제자유특구 계획을 심사해 국무총리 주재 특구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경북도가 최종 선정됐다.

배터리 리사이클링이란 폐배터리에서 리듐, 니켈, 코발트 등 희귀금속을 추출해 재활용하는 미래 핵심 기술로, 2050년 세계시장 600조원 규모를 예상하는 차세대 신산업이다.



이번 자유특구지정으로 환경부, 산업부, 경북도가 공동 협력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산업화를 위한 세부지침도 마련하게 된다.

특구단지 위치는 포항 영일만 산단과 블루밸리 산단에 555.694㎡(17만평)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가 조성되면 이차전지 생산 및 리사이클링 기술·설비를 갖춘 혁신기업인 에코프로GEM, GS건설, 피플웍스, 성호기업, 에스아이셀, 경북테크노파크가 특구사업자로 입주한다.

특구위치 및 특구 사업자/사진제공=경북도 특구위치 및 특구 사업자/사진제공=경북도
경북도의 규제자유특구는 전기차 배터리를 재사용·재활용 사업을 핵심으로 두고 있다.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는 승용차 SM3기준으로 290만원의 가치(내연기관의 경우 폐차시 총수익 52만원)가 있으며, 2031년에는 연간 10만대의 배터리가 배출될 것으로 예상돼 전기차 시대 황금알을 낳은 거위로 불리고 있다.

또한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소재(리튬, 코발트)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내외 관련 업계에서는 소재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이 본격화되면 핵심 부품소재 중 약 30% 정도 수입대체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관련 업계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차전지 핵심소재에 에코프로가 2022년까지 1조원 투자를 목표로 진행 중이며, 포스코케미칼도 투자에 나섰다.

규제자유특구 참여기업으로는 GS건설, 현대자동차, 에코프로GEM 등 대·중소기업이 앞다퉈 기지선점에 나설 것으로 예상돼 향후 상생형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 신호를 보내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경북도는 이번 특구지정을 계기로 배터리(이차전지) 산업을 적극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는 규제특구를 ‘배터리 국가선도 클러스터’로 육성, 이차전지 산업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이차전지 소재산업 종합 클러스터인 ‘가속기 기반 차세대 배터리파크’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R&D(포항), 소재생산(구미, 포항), 실증(김천), 충전(경산), 전기차 생산(경주, 영천) 등 5대 거점을 형성해 경상북도 일원을 배터리 산업 국가 클러스터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차세대 배터리 규제자유특구는 경북의 신산업육성, 투자유치, 일자리창출이라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두는 획기적인 산업정책 혁신의 큰 성과”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