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협약으로 동성제약은 2세대 광과민제 '포토론'을 활용해 흉강경을 이용한 폐암 수술과 뇌종양의 광역학 치료(PDT) 등의 임상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다양한 빛 전달 방법으로 대부분의 고형암에 광역학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광역학 치료는 포르피린 계통과 클로린 계통의 광과민성 물질이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축적되는 성질을 이용한 암 치료법이다. 허가가 진행 중인 포토론은 2세대 광과민제로, 정맥주사 후 3시간이 지난 후 665nm의 파장을 갖는 적색광을 쬐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동성제약에 따르면 포토론은 최근 기존치료에 반응이 없는 췌장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환자의 평균 생존값을 높이고 기존의 화학요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 등을 보이지 않아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이양구 동성제약 대표이사는 "포토론은 1세대 광과민제와 비교했을 때 주사 후 3시간 정도가 지나면 바로 시술이 가능하고, 시술 이후에도 2~3일 정도의 차광기간만 거치면 일상생활에 복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자의 삶의 질 개선에 탁월한 우수성을 보이고 있다"며 "흉강경을 이용한 폐암에서의 광역학 치료는 물론, 뇌종양의 경우 '수술 중 광역학 치료'(Intra-operative PDT)를 병행하는 임상을 진행해 암 환자분들께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