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손잡고 지역경제 살릴 '황금알 시장' 공략

머니투데이 포항(경북)=구경민 기자, 고석용 기자 2019.07.23 04:40
글자크기

[닻 올린 지역혁신요람 '규제자유특구']④경북 포항-에코프로, 1조 투자협약 계기로 추진

편집자주 기업들이 규제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4차 산업혁명 신기술·신제품을 상용화할 수 있는 ‘규제자유특구’가 본격 가동된다. 정부는 연말까지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시도에 지역 특성에 맞는 특구를 지정할 계획이다. 특구가 활성화하면 혁신성장의 요람이 되는 것은 물론 지역균형발전의 촉진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지방자치단체의 특구 추진현황과 기대효과, 개선방향을 알아봤다.

에코프로GEM 공장 내부 모습./자료제공=에코프로GEM에코프로GEM 공장 내부 모습./자료제공=에코프로GEM


경상북도가 추진하는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재활용)’ 규제자유특구는 전기차 배터리(2차전지) 소재업체 에코프로와 공동으로 기획한 민관협업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앞서 경북 포항과 에코프로 (517,000원 ▼33,000 -6.00%)는 지난해 차세대 배터리 혁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에코프로가 배터리 소재 생산뿐 아니라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이 커질 것으로 보고 2022년까지 1조원을 투자해 포항에 관련 생산공장을 짓기로 한 것. 이후 경북은 에코프로와 함께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를 모색해왔다. 올 초부터는 본격적으로 배터리 리사이클링을 위한 신기술 개발과 신사업 추진 계획안을 마련했다.



경북과의 민관 협업은 에코프로가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했기에 가능했다. 에코프로는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 중 하나인 양극재를 생산하는 에코프로BM과 양극재 전 단계 물질인 전구체를 생산하는 에코프로GEM을 자회사로 뒀다. 핵심소재 생산기술을 보유했기 때문에 사용 후 배터리를 분해하고 관련 소재를 추출해 재사용·재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김수연 에코프로GEM 대표는 “양극재와 전구체를 만드는 기술력으로 사용 후 배터리를 분류, 파쇄, 용융 등 물리·화학 처리하면 순수자원(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얻을 수 있고 이를 다시 전기차 등 친환경 배터리로 사용이 가능하다”며 “한발 나가 풍력·태양광 발전과 같은 ESS(에너지저장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는 민간기업이 사용 후 배터리를 재활용할 수 없게 돼 있어 관련 시장이 활성화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반면 해외 완성차업체들은 전기차 판매뿐 아니라 배터리 리사이클링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닛산은 2016년부터 사용 후 배터리를 재활용한 가정용·상업용 ESS를 판매한다. 테슬라·토요타·BMW·다임러도 재활용 배터리 ESS 시장에 뛰어들었다.

에코프로는 경북이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면 실증사업을 통해 생산기술 고도화를 이뤄 미래 성장사업으로 떠오르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김 대표는 “규제자유특구로 경북이 지정되면 고도의 기술력 확보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2021년까지 3000억원을 투입해 포항에 공장을 추가로 지어 캐파(CAPA·생산능력)를 늘리고 이를 통해 700명의 고용창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번 사업에는 에코프로GEM 비롯해 19개사가 특구 및 협력사업자로 참여한다. 2000년 설립된 성일하이텍은 사용 후 배터리를 수거해 전처리한 후 유기용매를 통해 △코발트 △니켈 △망간 △리튬 △구리 △알루미늄 등 금속을 뽑아내는 방식으로 배터리를 재생하는 기술을 보유했다. 벡셀은 1978년 국내 전지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온 배터리 제조 전문기업으로 알카, 망간 등의 1차전지와 니켈수소, 리튬이온, 산업용·군수용 전지팩 등의 2차전지를 제조 및 유통한다.
민관 손잡고 지역경제 살릴 '황금알 시장' 공략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