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경찰, 승진코스 강남서 '공개모집' 미달 굴욕

머니투데이 최동수 기자 2019.07.18 15:41
글자크기

12~17일 경감급 이하 100명 필요한데 겨우 60명 지원…인적쇄신 첫발부터 삐걱…일선 "잘해야 본전...장점 찾기 어려워"

[단독]경찰, 승진코스 강남서 '공개모집' 미달 굴욕


'버닝썬 게이트'로 논란을 빚은 서울 강남경찰서가 인적 쇄신을 위해 근무 희망자를 공개 모집했지만 지원자가 필요인원의 절반가량인 60여명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청이 이달 초 강남서 유착구조를 단절하기 위해 '반부패 전담팀'을 구성하고 대대적인 직원 물갈이를 예고했다. 그 일환으로 강남서 근무자를 공개모집지만 흥행실패로 첫걸음부터 벽에 부딪히는 모습이다.



18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 강남경찰서가 지난 12일부터 전날까지 경찰 내부망에 경감급(일선 경찰서 반장급) 이하 직원을 상대로 공개모집을 한 결과 일선 경찰 60여명이 지원했다.

경찰 관계자는 "과거 인사철이 되면 강남경찰서를 지원하는 경찰이 최소 100명이 넘었는데 이번에는 절반 정도에 그쳤다"며 "당초 200여명이 넘는 지원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생각보다 저조하다"고 설명했다.



경쟁을 통해 우수하고 검증된 인력을 뽑으려 했던 강남서는 다소 당황한 모습이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 인사 때 100여명을 교체하는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었는데 지원자가 적었다"며 "인사를 어떻게 낼지 고민"이라고 말했다.

지원자 수가 60여명 정도면 앞서 경찰청이 발표한 대책대로 인력 수급이 어려운 상황이다. 경찰청은 지난 4일 '경찰 유착비리 근절 종합대책'에서 강남서를 1호 특별 인사관리구역으로 지정해 5년까지 경찰서 내 인력을 30~70%까지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기준 강남서 인원은 총 858명으로 5년 동안 30%를 물갈이하려면 매년 52명씩 교체해야 한다. 50%를 바꾸려면 매년 85명, 70%를 바꾸려면 매년 120명을 바꿔야 한다. 지원자 60여명 수준이면 30%를 교체할 때 경쟁률이 1대1을 겨우 넘는 정도다.


문제는 우수한 인력을 선발하기 위한 인사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기 힘들다는 점이다. 경쟁이 치열하면 세밀한 인사 검증을 통해 인력을 골라서 뽑을 수 있지만 지원자가 부족하면 나면 최소 지원 조건에만 만족하면 뽑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경찰 조직 내 주요 '승진 코스'로 통하던 강남서의 인기가 떨어진 건 일선 경찰들 사이에서 '강남서에서는 잘해야 본전'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어서다. 지난해 말부터 버닝썬 사태를 겪으면서 조직과 국민들에게 신뢰를 상당 부분 잃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일선 경찰서 한 관계자는 "버닝썬 사태로 모든 이목이 쏠려 있는데, 강남서에서 잘하면 본전이고 조금이라도 실수하면 오히려 더 큰 질타를 받을 수 있다"며 "직원 감사도 더 까다롭게 한다는데 스트레스를 더 받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