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고가 찍은 美, 불안한 상승

머니투데이 김소연 기자 2019.07.12 08:37
글자크기

[개장전]뉴욕 증시, 파월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에 연일 최고가…경제 펀더멘털과 다른 흐름 '주의'

뉴욕 증시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금리 인하 쐐기 발언에 사상 최고가 행진을 벌였다. 기업 이익 전망치가 지속 하향하는 등 불안한 경제 시그널과 상반되는 모습이 펼쳐지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블루칩(우량주) 클럽인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227.88포인트(0.85%) 뛰어오른 2만7088.08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역사상 최고 기록이다.



대형주 위주의 S&P500 지수는 6.84포인트(0.23%) 오른 2999.91을 기록하며 3000선에 바짝 다가섰다. S&P500은 전날 장중 한때 사상 처음으로 3000선을 돌파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만 전일 대비 6.49포인트(0.08%) 내린 8196.04로 마감했다.

파월 의장이 이달말 금리인하를 기정사실화하며 주가 랠리에 불을 붙였다. 그는 "중립금리 수준과 자연실업률 수준 모두 생각했던 것보다 낮다"며 "통화정책도 우리가 생각했던 것 만큼 완화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중립금리란 경제가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이나 물가하락(디플레이션) 압력이 없이 잠재성장률 수준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말한다. 중립금리 수준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기준금리를 낮출 여지가 크다는 것을 뜻한다.

또 파월 의장은 "50년 전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이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이젠 연결고리가 깨졌다"고 말했다. 이는 실업률을 더욱 낮추기 위한 금리인하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해석됐다. 전날에도 파월 의장은 미 하원 금융위원회 출석에 앞서 서면 자료를 통해 "최근 몇주간 경제 전망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이달말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오는 30∼31일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시장은 연준이 한 번에 0.5%포인트를 내리는 통 큰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기대해왔지만, 최근 이 같은 기대감이 무산된데다, 고용지표까지 호조로 나타나면서 아예 금리 인하를 하지 않을 수 있다는 불안에 시달려왔다.


이에 미국 증시는 금리 불확실성 해소로 크게 뛰어올랐다. 그러나 주요 기업 이익 전망치가 하향되고 있다는 점, 중국과의 무역분쟁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 등 경제 불안 요소는 상존한다. 이 같은 점에서 최근 뉴욕 증시 급등이 '사상누각'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박기현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증시가 역사적 신고가를 기록했지만 이는 최근 미국 경제지표와 이익전망치 흐름과는 크게 다른 모습이어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며 "연준은 경기침체를 방어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금리 인하를 예고한 것인데 통화정책 기대감이 증시를 펀더멘털과 크게 다른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확인된 미국의 향후 12개월 내 경기침체 발생 확률은 32.6%(뉴욕 연준 추정)로 2008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고 장단기 금리(10년물-3개월물 기준)도 7주 연속 역전된 상태다. 게다가 미국 증시의 이익전망치도 하향조정돼 S&P500 구성기업의 EPS 성장률 전망치는 1분기 -0.4%에서 2분기 -2.6%, 3분기 -0.5%로 3개 분기 연속 역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박 센터장은 "블룸버그 컨센서스 기준 25개 기관 중 21개가 올 연말 S&P500 기준 3000포인트 이하의 레벨을 제시하고 있다"며 "대부분의 기관이 현재보다 낮은 지수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는 점을 투자 판단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날 파월 의장의 발언으로 국내 증시가 1% 이상 뛰어오른 만큼, 호재로서의 영향력이 줄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전날 한국 증시는 핵심 불확실성(미국 금리 인하, 일본 무역분쟁) 해소에 단숨에 2080선을 회복했다.

최길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이번 주 주요 이벤트들이 대부분 소진됐다는 점을 감안해 업종, 종목별 차별화 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음주 미국 기업 어닝시즌이 시작된다는 점에서 넷플릭스, 마이크로소프트 등 관련 종목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