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보복을 경쟁력 강화 계기로…정부 "소재부품 대책 마련"

머니투데이 세종=권혜민 기자 2019.07.01 18:12
글자크기

산업부, 반도체⋅디스플레이 긴급 현안 점검회의 개최…수입선 다변화·국산화 등으로 대응 예정

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해 수출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수출상황 점검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 사진=이동훈 기자 photoguy@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해 수출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수출상황 점검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 사진=이동훈 기자 photoguy@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 규제 조치에 대응해 정부가 핵심 소재의 공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승일 산업부 차관 주재로 반도체⋅디스플레이 긴급 현안 점검회의를 열고 업계 동향 점검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 규제 강화 발표에 따라 긴급히 열렸다. 삼성전자 (81,300원 ▲500 +0.62%), SK하이닉스 (237,000원 ▲12,000 +5.33%),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11,350원 ▼340 -2.91%) 등 반도체⋅디스플레이와 관련 소재 기업 8개 업체가 참석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협회도 자리를 같이했다.

앞서 일본 경제산업성은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소재에 대한 한국 수출을 규제하겠다고 밝혔다. 규제 대상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리지스트 △에칭 가스(고순도 불화수소) 3개 품목은 TV·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핵심소재로 사실상 일본이 독점하고 있다.



산업부와 업계는 일본의 예상 가능한 조치에 대해 수입선 다변화, 국내 생산설비 확충, 기술개발을 통한 국산화 등을 적극 추진해 왔다. 이어 핵심 소재⋅장비⋅부품 공급 안정성과 기술역량 확충 등을 위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도 곧 발표할 예정이다.

정승일 차관은 "산업부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와 긴밀한 협의채널을 유지하고, 업계에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민관 공조를 통해 관련 대응방안을 마련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