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경제정책 합참의장은 홍남기, 정책실장은 병참기지"

머니투데이 세종=정현수 기자 2019.06.23 10:00
글자크기

김상조 정책실장 "이재용 포함 재계 누구든 만날 것, 일관된 기조와 유연성 동시에 갖추겠다"

(세종=뉴스1) 장수영 기자 = 김상조 신임 청와대 정책실장이 21일 정부세종청사 공정거래위원회 다목적실에서 열린 위원장 퇴임식에서 퇴임사를 하고 있다. 2019.6.21/뉴스1  (세종=뉴스1) 장수영 기자 = 김상조 신임 청와대 정책실장이 21일 정부세종청사 공정거래위원회 다목적실에서 열린 위원장 퇴임식에서 퇴임사를 하고 있다. 2019.6.21/뉴스1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자신의 역할을 '병참기지 참모장'으로 규정했다. 경제정책의 '합참의장', 즉 컨트롤타워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밝혔다. 정책실장과 부총리의 묘한 관계를 의식한 발언이다. 기업과의 소통을 이어가겠다는 뜻도 전달했다.

김 실장은 지난 21일 정부세종청사 공정거래위원회 기자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한민국 경제정책의 컨트롤타워는 홍 부총리고, 각 부처 장관은 야전사령관"이라며 "정책실장의 역할은 비유적으로 표현하자면 병참기지"라고 말했다.



그는 "정책실장은 홍 부총리와 각 부처 장관들이 현장에서 충실히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후선에서 지원하는 역할"이라며 "각 부처의 여러 현안들을 협의하고 조정하는 데 도움을 드리는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질의응답 과정에서도 김 실장은 홍 부총리를 '합참의장'이라고 표현했다. 자신은 '병참기지의 참모장'이라는 표현도 썼다. 기재부가 조만간 발표할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홍 부총리가 주도하는 게 "당연하다"는 걸 설명하는 과정에서였다.



문재인 정부 초기 정책실장과 경제부총리의 관계는 다소 불편했다. 1기 경제팀이었던 장하성 전 정책실장과 김동연 전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여러 차례 불협화음을 냈다. 경제정책의 주도권 다툼을 하는 듯한 장면도 연출했다.

김 실장의 임명을 두고 재계가 우려하는 데 대해선 "기업들이 우려할 이유가 없다"고 일축했다. 김 실장은 시민사회에 있을 때부터 '재벌 저격수'로 불렸다. 공정위원장으로서도 일관된 재벌정책을 펼쳐왔다.

김 실장은 "왜 김상조가 정책실장이 되면 기업의 기를 꺾는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며 "형식은 비공식이 되겠지만, 공정위원장으로 있을 때보다 재계와 노동시장 등 이해관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책실장이 만나야 할 여러 이해관계자의 범주와 일정 체크부터 했다"며 "예측가능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일을 할 것인데, 이런 방식이 기업에겐 우호적인 환경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재계와의 소통 대상에 제한도 두지 않았다. 김 실장은 공정위원장으로서 주로 대기업 전문경영인과 만났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총수도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는 "요청을 한다면 누구라도 만날 것"이라고 답했다.

문재인 정부 초기에 경제정책 '프레임의 덫'에 갇혔던 것을 감안한 듯 경제정책의 유연성도 강조했다.

김 실장은 "혁신적 포용국가를 통해 사람 중심의 경제를 만든다는 기조는 일관되게 갈 것"이라며 "다만 그때 그때 경제환경에서 필요한 정책내용을 보완하고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충분한 유연성을 동시에 갖출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득주도성장, 공정경제, 혁신성장의 선순환적 관계를 만들어 가는 기조는 일관되게 갈 것이지만 2019년 6월 말 상황에서 필요한 부분에 관해 정책자원을 집중 투입하는 보완과 조정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비교적 상세하게 질의응답을 이어갔지만 곤란한 질문은 피해갔다. '문책성 인사', '회전문 인사'라는 평가 등 인사권과 관련한 질의에는 "노코멘트", "답을 하는 게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