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충전소 지으면서 왜 독일 기업에 돈 퍼주나"

머니투데이 우경희 기자, 고석용 기자, 이건희 기자 2019.06.20 15:38
글자크기

[수소엑스포]2세션서 국내 전문가 "기술 국산화" 한 목소리...충전소 구축 차등지원 등 제도 보완 요구도

왼쪽부터 박진남 경일대 신재생에너지학부 교수, 허영택 한국가스안전공사 기술이사, 김영식 이엠솔루션 본부장, 유종수 하이넷 대표, 권태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수석연구원./사진=김창현 기자왼쪽부터 박진남 경일대 신재생에너지학부 교수, 허영택 한국가스안전공사 기술이사, 김영식 이엠솔루션 본부장, 유종수 하이넷 대표, 권태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수석연구원./사진=김창현 기자


'수소경제를 기술로 주도하는 나라.' 같은 지향점을 향하는 다양한 방법론이 나왔다. 원천기술 확보와 인프라 확충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수소충전소 건설 차등지원, 안전관리 강화 등 제도적 제언도 이어졌다.

20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이틀째 열린 '2019 대한민국 수소엑스포' 제2세션 '대한민국 수소경제 어디로 가나'에 수소경제 핵심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수소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해 필요한 기술적, 제도적 보완점이 제시됐다. 특히 핵심 기술 국산화가 화두였다.

수소제조설비 생산업체 이엠솔루션 김영식 본부장은 "정부가 보다 강력한 국산화 정책을 펼쳐야 한다"며 "수소 충전기를 독일 제품을 주로 쓰는데, 외국 기업에 돈을 퍼주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방자치단체나 가스공사 등이 입찰할 때 (국내 기업에)가산점을 주는 육성 제도가 필요하다"며 "지금은 사실상 국내 기업에 감점을 주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수소충전소 기술의 국산화율은 분야별로 67~80% 정도로 집계된다. 하지만 정작 수소충전소에는 국내산 부품이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 김 본부장은 "2004년부터 수소설비 개발을 시작했는데 수요처가 없다 보니 개발은 하는데 연구진이 계속 바뀐다"며 "국산 제품이 실증되지 않았다고 사용하지 않는데, 국산화 계획을 갖고 있는 사업을 먼저 입찰하게 하는 등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정부의 수소차 보급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수소차 구입보조금 뿐 아니라 수소충전소 구축 보조금도 용량별로 세분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국가스공사, 현대차 등 13개 국내외 수소 관계사가 공동 설립한 하이넷(수소에너지네트워크) 유종수 대표는 "수소충전소 구축 지원보조금에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구축하는 충전소의 시간당 충전량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이넷은 2023년까지 수소충전소 100기 공급을 추진 중이다. 25kg급(승용차50대분)과 50kg급(100대분) 등 두 종류다. 두 충전소간 구축비용에는 1.5배 이상 차이가 있지만 보조금은 '충전소 구축비용의 50%에서 최대 15억원'으로 동일한 상황이다.

유 대표는 "큰 규모의 충전용량을 가진 수소충전소에 용량에 따른 보조금 상향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조금이 같을 경우 비교적 비용이 적게 소모되는 25kg급에 투자가 몰릴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수소전기차가 늘어나는 반면 충전소가 모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허영택 한국가스안전공사 기술이사가 20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국회수소경제포럼 주최, 머니투데이·국가기술표준원·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공동 주관으로 열린 '2019 대한민국 수소엑스포' 세션2 '대한민국 수소경제 어디로 가나'에서 '수소자동차 충전소 설치 및 체계적 안전관리제도'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 사진=김창현 기자 chmt@ 허영택 한국가스안전공사 기술이사가 20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국회수소경제포럼 주최, 머니투데이·국가기술표준원·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공동 주관으로 열린 '2019 대한민국 수소엑스포' 세션2 '대한민국 수소경제 어디로 가나'에서 '수소자동차 충전소 설치 및 체계적 안전관리제도'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 사진=김창현 기자 chmt@
안전한 수소 사용을 위해 통합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 본부장은 "충전소 사고율이나 고장률을 지자체가 밝힐 리가 없다. 자기 얼굴에 침을 뱉는 격 아니냐"며 "가동률이나 고장률이 국제 규격을 만족하는지를 진단하기 위해 정부 차원 점검을 실시하고,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영택 이사는 최근 발생한 노르웨이 충전소 폭발사고 등과 관련해 "수소가 우리 생활에 본격적으로 들어오는 시기이고, 일본에선 사고가 없었던 점을 벤치마킹해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며 "이 부분(안전)에 사활을 걸고 전 조직이 매달려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소 외에 다양한 에너지믹스를 확보해야 한다는 학계의 제언도 나왔다. 박진남 경일대 신재생에너지학부 교수는 "수소는 절대 만능이 아니다"라며 "수소가 미래에너지의 한 축인 것은 분명하지만 수소에 대한 지나친 집중으로 다른 미래에너지원에 대한 개발과 투자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콘퍼런스 축사에 나선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수소가 더 이상 미래의 에너지자원이 아니라 현재 일자리 창출을 위한 블루오션"이라며 "수소가 우리 산업구조 혁신과 에너지 체계의 근본적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