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패 나란히 달았던 '이희호'·'김대중' 부부…DJ에게 이희호란

머니투데이 이재원 기자 2019.06.11 05:01
글자크기

[the300]부인 뛰어넘은 정치적 동반자 관계…이화여대·서울대 졸업한 '1세대 여성운동가' 엘리트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향년97세)가 10일 별세했다.  사진은 1998년 2월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15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국민의례하는 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사진=더불어민주당 제공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향년97세)가 10일 별세했다. 사진은 1998년 2월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15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국민의례하는 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사진=더불어민주당 제공


10일 별세한 이희호 여사는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이자 정치적 동반자 관계였다. 김 전 대통령과 격변의 현대사를 함께 보낸 야권의 '대모'로 평가받는다.

1922년 유복한 의사 집안에서 태어난 이 여사는 이화여대의 전신인 이화여전 문과와 서울대 사범대를 졸업한 뒤 미국 유학을 다녀와 이화여대 사회사업학과에서 강의를 하는 등 당시 '엘리트 여성' 가운데 하나였다.



이 여사는 국내 여성운동 1세대 활동가라도 분류된다. 1950년대에는 초에는 대한여자청년단, 여성문제연구원 등의 창설을 주도했다. 미국 유학 직후인 1950년대 말에는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YWCA) 총무와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이사를 역임하는 등 한국 여성운동계 지도자로 성장한다.

김 전 대통령과 이 여사가 첫 인연은 맺은 것은 1951년이다. 둘은 학술모임에서 만나 서로에 대한 신뢰를 쌓았고, 관계를 이어가던 중 1962년 이 여사가 YWCA 총무로 있던 때 결혼식을 올렸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은 5수 끝에 국회의원이 됐지만 5·16 쿠데타로 정치 낭인이 된 상태였다. 이때부터 이 여사는 김 전 대통령의 동반자이자 정치적 동지가 됐다.

김 전 대통령에 대한 정권의 탄압이 이어지던 시기, 이 여사는 항상 남편과 함께했다. 결혼식을 올리고 열흘 만에 이 여사는 남편이 중앙정보부에 끌려가는 것을 봤다. 76년 ‘3·1 민주구국선언 사건’ 이후 반복된 김 전 대통령의 옥살이에 이 여사는 석방 운동과 옥바라지를 했다.

특히 이 여사가 유학 시절 쌓은 영어 실력과 영문 타자 솜씨, 서구식 매너 등이 큰 자산이 됐다. 이 여사는 김 전 대통령이 곤경에 처할 때마다 세계 각지의 유력인사들에게 유려하고 호소력 짙은 편지를 보내 구명 운동을 펼쳤다. 이는 김 전 대통령의 미국 망명 생활에도 결정적인 도움을 줬다.


97년 김 전 대통령의 취임식 이후 이 여사는 영부인으로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앞장섰다. 결식아동을 위한 봉사단체 ‘사랑의 친구들’, 저소득층 여성을 돕는 ‘한국여성재단’ 등에서 활동했다. 여성가족부의 모태가 되는 ‘대통령 직속 여성특별위원회’도 출범시켰다.

이 외에도 국민의 정부에서 여성부가 신설되고 여성의 공직 진출이 확대된 데 대해 "이희호 여사의 역할이 컸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였다.

김 전 대통령도 내가 나름대로 페미니스트적인 관점과 행동을 실천할 수 있었던 것은 아내의 조언 덕이었다"고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김 전 대통령과 이 여사 부부가 동교동 자택에 '이희호'·'김대중' 문패를 나란히 단 것도 김 전 대통령이 이 여사에 보이는 존경심과 애정에서 비롯됐다는 설명이다.

결혼 1년 뒤쯤인 1963년 4월 이희호와 김대중은 그때만 해도 변두리였던 서울 마포구 동교동의 작은 국민주택으로 이사했다. 이듬해 전세였던 집을 사들인 뒤 김대중은 자신과 아내의 이름을 새긴 문패 2개를 나란히 내걸며 동교동 시대를 열었다. 사진은 1982년 미국으로 망명을 떠난 부모를 대신해 동교동을 지키던 맏아들 김홍일의 문패까지 3개가 걸려 있던 시절이다. /사진=김대중평화센터 제공결혼 1년 뒤쯤인 1963년 4월 이희호와 김대중은 그때만 해도 변두리였던 서울 마포구 동교동의 작은 국민주택으로 이사했다. 이듬해 전세였던 집을 사들인 뒤 김대중은 자신과 아내의 이름을 새긴 문패 2개를 나란히 내걸며 동교동 시대를 열었다. 사진은 1982년 미국으로 망명을 떠난 부모를 대신해 동교동을 지키던 맏아들 김홍일의 문패까지 3개가 걸려 있던 시절이다. /사진=김대중평화센터 제공
이 여사는 김 전 대통령 퇴임 이후엔 대북송금 사건 수사, 세 아들의 비리 연루로 또 한 번 힘든 시기를 겪었다. 2009년 8월에는 남편 김 전 대통령을, 지난 4월에는 첫째 아들 김홍일 전 의원을 먼저 보냈다.

이 여사는 생전 언론 인터뷰를 통해 "여성의 인권을 존중하고 높이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란다"며 "그리고 남편과 함께 민주주의를 이루기 위해 한길을 걸었다는 것을 기억해주었으면 한다"고 소원했다.

한편 이 여사는 올해 봄부터 노환으로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아왔다.

이 여사의 분향소는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특1호에 마련될 예정이다. 김대중평화센터에 따르면 조문은 11일 오후 2시부터 가능하다.

발인은 14일 오전 6시다. 장지는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이다. 장례예배는 14일 오전 7시 신촌 창천교회에서 열릴 예정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