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송환 반대" 7명 중 1명 거리나선 홍콩인

머니투데이 베이징(중국)=진상현 특파원, 강기준 기자 2019.06.10 17:31
글자크기

2014년 '우산혁명' 시위 이후 누적된 '중국화' 정책 불만 표출…캐리 람 행정장관 "법안 개정 계속 진행"

(홍콩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10일 (현지시간) 홍콩에서 중국과 범인 인도 협정 개정 반대하는 시위대의 부상자를 구조대원들이 옮기고 있다. 정치범도 범인 인도 대상에 포함될 것을 우려하는 시민들의 이번 시위에는 1997년 중국 반환 이후 최대 규모인 약 100만 명이 참여했다.  © AFP=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홍콩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10일 (현지시간) 홍콩에서 중국과 범인 인도 협정 개정 반대하는 시위대의 부상자를 구조대원들이 옮기고 있다. 정치범도 범인 인도 대상에 포함될 것을 우려하는 시민들의 이번 시위에는 1997년 중국 반환 이후 최대 규모인 약 100만 명이 참여했다. © AFP=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구 740만명의 홍콩에서 100만 명이 넘는 시민이 참여하는 거리시위가 발생하면서 수년간 추진된 '홍콩의 중국화' 정책에 대한 반감이 표출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1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포스트(SCMP) 등 외신에 따르면 전날 오후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주최측 추산 103만명, 경찰측 추산 24만명의 시민이 거리 시위에 참석했다. 홍콩 인구가 740만명 가량인 점을 감안하면 홍콩 시민 7명 중 1명이 시위에 참가한 것이다. 이는 홍콩이 1997년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 뒤 최대 규모 시위이기도 하다. 앞서 2014년에는 홍콩 행정수반 선거의 완전 직선제 요구하며 50여만명이 참가해 '우산혁명' 시위를 벌였다.



이번 시위의 직접적인 계기는 오는 12일 홍콩 의회의 2차 심사 앞두고 있는 '범죄인 인도 법안' 개정 이슈다. 이 개정안은 중국 본토와 대만, 마카오 등 홍콩과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나 지역에도 범죄인을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홍콩은 영국, 미국 등 20개국과 인도 협약을 맺었지만, 중국과는 20년 간 체결하지 못했다.

홍콩 시민들은 이 법안이 통과될 경우 중국이 반중 인사나 인권운동가 등을 본토로 송환하도록 악용할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거리행진은 오후 3시쯤 빅토리아공원에서 시작돼 코즈웨이 베이, 완차이를 지나 홍콩 정부청사까지 이어졌다. 시민들은 중국 송환 반대를 뜻하는 '반송중(反送中)'이 적히거나, 홍콩 행정수반인 캐리 람 행정장관 사퇴를 요구하는 팻말 등을 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콩의 대규모 시위에 전세계 20개국에서도 연대 시위가 벌어지고 지지성명이 나오기도 했다.



(홍콩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10일 (현지시간) 홍콩에서 중국과 범인 인도 협정 개정 반대하는 시위대가 바리케이드로 도로를 봉쇄하고 있다. 정치범도 범인 인도 대상에 포함될 것을 우려하는 시민들의 이번 시위에는 1997년 중국 반환 이후 최대 규모인 약 100만 명이 참여했다.  © AFP=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홍콩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10일 (현지시간) 홍콩에서 중국과 범인 인도 협정 개정 반대하는 시위대가 바리케이드로 도로를 봉쇄하고 있다. 정치범도 범인 인도 대상에 포함될 것을 우려하는 시민들의 이번 시위에는 1997년 중국 반환 이후 최대 규모인 약 100만 명이 참여했다. © AFP=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번 시위가 50만 명을 목표로 했던 주최측 예상을 훨씬 뛰어넘을 정도로 열기가 높았던 데는 '우산혁명' 시위 이후 '홍콩의 중국화' 정책이 강력하게 추진된데 따른 누적된 불만이 표출됐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2014년 '우산혁명'이 실패 이후 중국 정부는 홍콩 독립 목소리가 커질 것을 우려해 강경 일변도의 대홍콩 정책을 밀어붙였다. 우산 혁명을 이끌었던 지도부는 공공소란죄 등의 명목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홍콩 독립을 주장하는 홍콩민족당은 강제로 해산됐다. 홍콩 선거관리위원회는 독립 성향을 가진 야당 후보의 피선거권을 잇달아 박탈하기도 했다.

전날 시위에 나선 40대인 한 홍콩 시민은 SCMP에 홍콩 정부가 자신들의 요구들을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인정하면서도 "홍콩 주민들은 그럼에도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야 한다. 홍콩이 중국과 다르다는 것을 말해야 한다. 중국 본토 주민들은 중국 정부가 한 일에 대해 목소리를 내지 못할지 몰라도 우리는 할 것이다"고 말했다. 홍콩 비영리기구인 홍콩정의센터의 전 선임 정책자문관 사이먼 헨더슨은 “모든 이를 하나로 묶는 것은 중국 정부에 대한 불신감이며 이런 법안이 홍콩의 자치권을 더 훼손할 것이라는 두려움”이라고 말했다.

SCMP는 사회,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홍콩 주민들의 '반중국' 감정이 누적됐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본토인들과 본도 중국 부자들의 '검은 돈'들이 밀려 들어오면서 홍콩의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았고, 일자리를 놓고도 본토인들과 경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대규모 시위에도 불구하고 법안 개정을 강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12일 법안 심사를 전후해 유혈 사태가 빚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