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무역전쟁, 내년말까지 간다"…시장이 희망을 버렸다

머니투데이 뉴욕(미국)=이상배 특파원 2019.05.24 08:19
글자크기

[월가시각] 中언론 "6월말 미중 정상회담 불발 가능성"…"무역전쟁 확전 땐 주가 10% 이상 하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미국이 대선 국면에 들어가면서 우선순위가 바뀌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내년말 대선 전까진 이어질 것이다" (노무라증권 루이스 알렉산더 수석이코노미스트)

몰랐던 건 아니다. 월가도 미중 무역전쟁이 하루 이틀만에 끝나진 않으리란 건 알았다. 단지 믿고 싶지 않았을 뿐이다. 이르면 이달말 미중 무역협상이 타결될 것이란 낙관적 시나리오는 전망보다는 희망에 가까웠다. 그리고 그 희망이 깨진 현실을 월가도 이제야 비로소 받아들였다. 23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폭락한 배경이다.



◇中언론 "6월말 미중 정상회담 불발 가능성"

이날 뉴욕증시에서 우량주(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86.14포인트(1.11%) 급락한 2만5490.47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위주의 S&P(스탠다드앤푸어스) 500 지수는 34.03포인트(1.19%) 내린 2822.24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22.56포인트(1.58%)나 주저앉으며 7628.28에 마감했다. 초대형 기술주 그룹인 이른바 MAGA(마이크로소프트·애플·구글의 지주회사 알파벳·아마존)도 모두 하락했다.

'G2(양 강대국) 무역전쟁'이 조만간 끝날 것이란 희망을 월가가 버린 결과다. 이달초까지도 시장은 이르면 이달말 미중 무역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기대했다. 합의를 토대로 협정문을 만든 뒤 다음달말 미중 정상회담에서 서명한다는 시나리오였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와의 거래를 끊으란 행정명령으로 중국을 자극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베이징에서 열기로 한 후속 무역협상에 대한 일정 협의는 사실상 중단됐다.


중국 상무부의 가오펑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만약 미국이 협상을 계속하고 싶다면 성의를 갖고 잘못된 행동을 고쳐야 한다"며 "중국은 중대한 원칙적 문제에 대해 절대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당초 다음달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개최될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릴 예정이었던 미중 정상회담이 불발될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고 보도했다.

◇"무역전쟁 확전 땐 주가 10% 이상 하락"

미국도 양보할 마음이 없긴 마찬가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과의 무역협상에서 합의가 이뤄진다면 대단할 일일 것이다. 중국과 함께 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있다"면서도 "합의가 안 돼도 괜찮다"고 말했다.

극적인 돌파구가 없다면 연내 협상 타결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알렉산더 이코노미스트는 "6월 이후 양국이 단기 휴전에 들어간 뒤 올해말 다시 협상이 결렬되고 더 많은 관세가 부과되는 수순을 밟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투자은행 JP모간은 "양국이 서로 부과한 추가관세가 내년까지 유지될 것이라는 게 기본 전망"이라며 "올 하반기 추가로 3250억달러(약 390조원) 규모의 중국산 상품에도 25%의 관세가 부과되는 더 나쁜 시나리오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중국에선 무역전쟁이 10년 이상 갈 것이란 전망까지 나왔다. 중국 정부 싱크탱크인 국제경제교류센터의 장옌성 수석연구원은 "미국 측의 요구는 단기적으로 실현될 수 없다"면서 "중국과 미국이 2035년까지 싸움과 대화를 반복할 수 있다"고 했다.

월가는 이미 무역전쟁 확대 또는 장기화에 대비하고 있다. QMA의 에드 권 수석투자전략가는 "전면적 무역전쟁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만약 무역전쟁이 확대된다면 주식시장이 10% 이상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그는 이미 주식에서 일부 자금을 빼 현금과 미 국채 선물의 비중을 늘렸다고 전했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양국간 관세전쟁이 길어질 경우 미국과 중국의 GDP(국내총생산)가 3년간 각각 0.5%, 0.8%씩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면서도 "아직도 우리는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더 크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