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바이오, 3년 뒤 수백억 흑자 기본?…특례상장 '호구' 안 되려면

머니투데이 김명룡 기자 2019.05.16 09:09
글자크기

[특례상장 시대 '명과 암']②상장 당시 미래가치 과하게 평가 지적…보유기술 가치판단 어려워

적자 바이오, 3년 뒤 수백억 흑자 기본?…특례상장 '호구' 안 되려면


"신약개발은 도 아니면 모가 나오는 게임이다. 상장 초기의 기업들이 기술을 상업화하기까지 너무도 오랜 시간이 걸리고 변수도 많다. 우리 시장이 바이오에 너무 후한 평가를 내리는 것 같다."

한 증권사의 IPO(기업공개) 담당 총괄임원은 "연간 수백억원의 이익이 나는 제조업체도 시가총액 1000억원대의 평가를 받기 어려운데 적자만 내는 바이오기업들은 공모규모만 1000억원을 쉽게 넘긴다"며 이렇게 말했다.



기술특례 상장기업의 숫자와 청구기업에 대한 승인비율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26개 기업이 기술특례를 신청했고 총 21개 기업(바이오기업 16곳)이 상장돼 승인율이 80%를 넘었다. 이전까지는 승인율이 50% 내외였고, 상장기업수도 10곳 내외였다.

한국거래소는 올해 특례상장의 문을 더 열어줄 계획이지만 평가는 시장에 맡기는 것을 원칙으로 세웠다. 기술특례기업의 변동성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거래소 관계자는 "일정 요건을 갖춘 기업의 경우 상장을 허용하고 기업에 대한 평가는 시장에 맡기겠다는 게 기본 원칙"이라며 "상장주관사나 투자자가 보다 신중하게 투자판단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오 기술특례기업의 가치는 대부분 이들이 가진 기술에서 나온다. 투자전에 신약후보물질의 기술이전 가능성과 상업화 가능성을 파악해야 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일반투자자가 이런 가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전문가들은 상장주관사들이 내놓는 투자설명서를 꼼꼼하게 검토한 후 투자에 나서야한다고 조언을 한다. 특히 장기투자자라면 인수인의 의견에 나온 '미래 추정 주당순이익'을 잘 파악해야 한다. 증권사들은 짧게는 3년 길게는 5년 이후의 손익계산서를 추정해서 올려놓는다.

그런데 미래추정 수익이 지나치게 낙관적이란 지적이 나온다. 올해 기술특례로 공모가를 산정한 6개 기업은 2021년 혹은 2022년에 평균 30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을 토대로 공모가를 산정했다. 이들은 지난해에 22억~4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016년 기술특례 상장기업 8곳도 대부분 미래추정수익을 맞추지 못했다. 특히 2018년 순이익을 공모가 산정에 반영했던 5곳은 2018년에 당기순이익이 83억~277억원 수준이 될 것이라고 했지만 순이익을 낸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2015년 기술특례를 통해 직상장된 7개 바이오기업의 상장시 투자설명서를 분석한 결과, 단 한 곳도 공모 때 내놓았던 미래추정 순이익을 맞추지 못했다. 이들 상장사들은 상장 당시 2~3년 뒤 총 731억원이 넘는 순이익을 기록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실제론 62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IB업계 관계자는 "수년간 증시에서 바이오가 각광을 받으면서 주관사들이 무리하게 공모가를 산정했다"며 "주관사 입장에서는 공모가가 올라가면 수수료 수입도 올라가서 이같은 현상이 더 심화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일부 기업들은 순이익은 나지 않지만 신약개발에서 성과가 나는 곳도 있다"며 "단순히 실적만 보고 판단할 문제는 아니지만 지나치게 낙관적인 전망만 믿어선 안된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