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스마트팜 혁신밸리에 대한 기대

머니투데이 김세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DF융합연구단 실장 2019.05.03 06:00
글자크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DF융합연구단 김세한 실장 / 사진제공=김세한한국전자통신연구원 SDF융합연구단 김세한 실장 / 사진제공=김세한


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사이먼 쿠즈네트 교수는 농업과 농촌의 발전 없이 선진국이 되는 것은 어렵다고 했다. 실제로 높은 수준의 국민소득을 지닌 국가들 중 농업기술이 낙후된 나라를 찾기는 어렵다. 농업 기술에 선제적으로 투자해 식량문제를 해소하면서도 각 나라가 가지는 인력, 자본, 토지 등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되면서 타 산업 발전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우리와 인접한 중국은 "지속 가능한 농업발전을 위한 계획(‘15~’30)"으로 농업·농촌 분야의 4차 산업 혁명 계획을 수립하고 대규모 시설투자와 빅데이터, 로봇기술을 바탕으로 첨단농업 기술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중국이 농업 선진국의 기술을 도입하고 과감한 R&D 투자를 시도하는 것은 부러움을 넘어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국의 농업·농촌 현실에 비해 두렵기까지 하다.



우리 정부 또한 작년 전북 김제, 경북 상주에 이어 올해 전남 고흥, 경남 밀양을 스마트팜 혁신밸리 지역으로 최종 선정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청년 보육센터, 영농 창업을 위한 임대형 스마트팜, 첨단 농자재 실증·검인증을 위한 실증단지, 주민 참여형 온실, 유통시설이 연계된 패키지 형태의 대형 사업이다. 이는 정부가 추진하는 혁신성장 과제의 일환으로 청년 인력 육성, 전·후방 산업 성장, 규모화·집적화를 통한 국내외 新시장개척 측면에서 전 세계 농업혁신의 흐름과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흔히 스마트팜을 이야기하면서 데이터 중심의 농업을 누구나 당연한 것처럼 쉽게 이야기하지만 살아있는 생물에 대한 데이터 수집, 분석 및 활용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수집 데이터의 관리와 신뢰성이 전제되어야 하고 핵심역량과 주인 의식이 있는 운영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더불어 한국 현실에 적합한 빅데이터, 운영 플랫폼, 센서 및 제어기 등의 기자재 등의 ICT융합 기술의 혁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인력의 교육 및 고용 창출은 더 이상 물러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혁신밸리의 탄생이 매우 기대된다. 단순 생산과 하드웨어 중심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통합된 플랫폼 관점에서 R&D, 생산, 교육, 실증 기능이 집적화된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농민의 기술 수용성 증대, 전후방 산업의 육성, 청년 농업인을 위한 지식 플랫폼 모델 투자로 이뤄져 한세대 앞선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풀어야할 숙제도 아직 남아있다. 국내 스마트팜 표준은 2010년 시작하여 현재 TTA단체표준 40여건, KS표준, 최근에는 ISO 등 국제 표준까지 제정되고 있으며, 이런 흐름은 점차 확산될 예정이나 여전히 국내 기업의 여건상 표준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기에 여력이 부족한 것도 현실이다. 이를 감안하여 관련 기업이 쉽게 따라 갈 수 있는 인증 사업의 추가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 기업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공유와 함께 개발한 기술에 대해 지적 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는 오픈 데이터 정책에 대한 적극적 검토도 이뤄져야 한다. 이를 토대로 혁신밸리는 국내 스마트팜 시스템의 해외 수출을 위한 교두보가 되어야 하며, 센서 및 기자재 등의 단순 검증 인프라가 아닌 관련 플랫폼, 프로토콜,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 검증의 장이 되어야 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미래 투자의 약속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농업을 위한 핵심단지로서의 역할을 위해서는 작물 생산중심의 혁신밸리가 아니라 국가의 미래를 이끌어갈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농축산 전략 싱크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와 산하기관, 대학, 출연연 및 기업 등이 같은 마음으로 미래의 농업을 준비하기 위한 일체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