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초통계]행복도 측정이 되나요?

머니투데이 강신욱 통계청장 2019.04.23 04:09
글자크기
[60초통계]행복도 측정이 되나요?


대한민국 헌법 제 10조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는 국민의 행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런데 행복은 추상적이고 상대적인 개념이라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

"측정할 수 없다면 개선할 수 없다"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라 불린 피터 드러커의 말이다. 추상적인 행복 역시 측정이 되어야만 관리하고 개선할 수 있다. 행복의 가치를 계량화하여 측정,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세계기구와 각 국가 단위에서 지속되고 있는 이유다.



UN(국제연합)에서 최근 <2019행복보고서>를 발간했다. 156개국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각 국가별 행복의 순위를 메기고 1인당 GDP(국내총생산), 기대수명, 사회적지지, 선택의 자유, 관대함, 부패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해 그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올해는 핀란드가 1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54위다. 지난해 57위보다 세 계단이 올랐다.

통계청도 2014년부터 우리 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국민 삶의 질 지표를 개발해 국민 행복을 측정하고 있다. 소득, 고용, 주거 등 객관적 지표와 만족도와 같은 주관적 지표 등 11개 영역에서 총 71개 지표를 개발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와 UN에서 작성하는 국제비교지표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돌파했다. 인구 5000만명 이상이면서 소득 3만 달러가 넘는 나라를 의미하는 30-50클럽에도 세계에서 7번째로 가입했다. 경제지표로 드러난 우리의 국제적 위상에 걸맞게 국민의 행복 성적표도 빨리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