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 야근 없앤다" 펀드 기준가 산정 대폭 손질

머니투데이 송정훈 기자 2019.03.10 12:44
글자크기

금융당국 프로세스 개선 방안 마련, 산정시간 최대한 앞당겨

"만성적 야근 없앤다" 펀드 기준가 산정 대폭 손질


금융당국이 자본시장 핵심업무인 펀드 기준가격 산정 제도를 대폭 손질한다. (☞금융당국, 해외펀드 기준가격 산정 변경 검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0일 사무관리회사의 펀드 기준가격 산정 프로세스 개선을 담은 혁신형 자산운용산업 규제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은 해외펀드는 현재 당일 기준가격 산정시기를 다음날(익일)로 하루 늦추고 국내펀드는 기준가격 산정 당일 종가 등 기초자료 제공시간을 오후 6시까지로 제한해 펀드 기준가 산정시간을 최대한 앞당기는 게 핵심이다. 현재 해외, 국내 등 펀드 기준가격 산정이 매일 국내 증시 마감 후 당일 밤늦게 이뤄지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펀드 기준가격은 거래단위(좌수)당 실질 자산가치(NAV)로 펀드를 사고팔 때(매입과 환매) 적용되는 가격이다. 펀드거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본시장 핵심업무다.



세부적으로 해외펀드는 매일 당일 밤늦게 산정해 다음날 오전까지 공시하지 않고 전일 종가 등 기초자료를 반영해 다음날 산정 후 검증을 거쳐 그 다음날 오전에 공시한다. 국내펀드는 매일 기초자료 제공시간을 당겨 당일 오후 산정한 뒤 검증을 거쳐 다음날 오전 공시한다.

이번 제도 개선은 현재 펀드 기준가가 매일 만성적으로 밤늦게 산정되면서 펀드산업 경쟁력 약화와 투자자 피해 우려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금융위 관계자는 "기준가격 산정이 계속 늦어져 기준가격 오류가 증가, 국내 펀드 산업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사무관리회사의 만성적인 야근으로 전문인력이 이탈하면서 전문성이 저하된 게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펀드 기준가격 오류는 지난 2017년 711건으로 지난 2014년(132건)보다 3년새 579건(440%) 급증했다. 연도별로 2014년과 2015년(180건), 2016년(201건)에 이어 2017년까지 증가 추세다.


펀드 기준가격이 잘못 산정돼 매매가 이뤄져 투자자 손실이 발생하면 펀드 산업에 대한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펀드 투자자는 기준가격이 실제보다 높게 산정될 경우 매입 시, 낮게 산정되면 환매 시 그만큼 손실을 보게 된다.

업계에선 기준가격 산정 프로세스 개선으로 산정 시간이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따라, 사무관리회사의 근무시간이 줄어드는 등 근무여건이 개선돼 전문인력 이탈도 줄어 펀드 기준가격 오류가 감소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사무관리회사 한 대표는 "기준가격의 기초자료 취합이 늦어지면서 산정이 지연되는 관행을 바꾸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기준가격 산정이 밤늦게까지 지연된 데 따른 부작용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개선안이 시행되더라도 기준가격 산정 시간이 일부 단축될 뿐 자료취합이 늦어져 밤 8~9시 이후까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사무관리회사 관계자는 "국내 펀드의 경우 기초자료 제공 시간을 오후 6시로 제한해 산정시간을 감안하면 오후 8시 안팎에 산정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기초자료 제공 시간을 조금 더 당기는 방안과 함께 실제 자료 제공 시간이 지켜질 수 있는 문화가 정착돼야 제도 개선이 가시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