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위적 구조조정 막자" 현대차 노사, 논의 돌입

머니투데이 이건희 기자 2019.03.07 19:16
글자크기

(상보)7일 울산서 특별 고용안정위원회 개최…중장기적 고용구조 대응 방안 논의

현대차 양재동 사옥. /사진제공=현대자동차현대차 양재동 사옥. /사진제공=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 노사가 인위적 구조조정이 아닌 고용안정과 인력 효율화 확보 방안을 찾기 위해 논의에 돌입했다. 2025년까지 정년퇴직자가 1만7500명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노사가 해법 찾기에 나선 것이다.

7일 현대차 (295,000원 ▼3,000 -1.01%)에 따르면 노사는 이날 울산공장 본관에서 '특별 고용안정위원회'를 열고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차 확산 추세와 4차산업혁명에 따른 제조공정 인원 감소 문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회의에선 노사는 직원 고용 영향을 최소화하는 인력운영 효율화 방안을 함께 모색하고 인위적 구조조정이라는 최악을 막자는 방향성을 공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기존의 회사 주도 인력운영에서 벗어나 자동차산업 변화에 대비한 인원 감소 문제에 대해 노사가 함께 대응책을 찾아보자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일각에선 이날 인력 재배치 등의 방안도 논의됐다고 했지만 사측은 "노사가 이제 공동 논의에 진입해 대립보다 대화의 토대를 마련했다"며 선을 그었다.

노조는 특별 고용안정위원회와 별도로 이날 노조신문을 통해 고용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부영 현대차 노조 지부장은 "2025년까지 정년퇴직자가 1만7500명이 발생하는데 회사는 촉탁직으로 공장을 채운다"며 "올해 조합원 고용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회사가 신규충원은 않고 촉탁직으로 공장을 채우니 현대차가 비정규직 공장으로 변하는 건 순식간이 될 수 있다"며 "우리는 내부의 고용불안이라는 심리적 위축과 정규직이 기피하는 공정을 비정규직, 촉탁직으로 채우자는 잘못된 생각으로 고용안정을 스스로 무너뜨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런 모순을 바로잡기 위해 이번 32차 정기대의원대회에서 '정년퇴직자 T/O 단체협약위반에 따른 투쟁 결의'를 했고, 단체협약 제44조(인원 충원)를 지키라는 투쟁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