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뒤늦게 '쓰레기 전쟁'에 뛰어든 이유

머니투데이 강기준 기자 2019.02.26 14:45
글자크기

플라스틱 쓰레기 수출길 막혀 지난해 40만톤 국내에 쌓여...관광객 몰려 쓰레기 몸살까지 앓자 대책 마련

/AFPBBNews=뉴스1/AFPBBNews=뉴스1


일본이 뒤늦게 쓰레기와의 전쟁에 돌입했다. 1년여전만 해도 국제사회에 관심이 없다고 하다가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기 시작하자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들어간 것이다.

25일 교도통신, 재팬타임스 등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플라스틱 쓰레기 수출량은 101만톤으로 전년 143만톤 대비 약 30%(약 41만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말 중국이 더이상 쓰레기를 수입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중국향 수출량은 종전 102만톤에서 10만톤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당장 지난해는 태국이나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인근 국가로 수출하며 버텼지만, 지난 10월 대만이 플라스틱 쓰레기 수입을 안하겠다고 발표하고, 말레시아도 포화상태라며 쓰레기 수입을 잠정 보류하겠다고 하자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게다가 너무 많은 관광객이 몰려 주민들의 삶을 침범하는 현상을 일컫는 '오버투어리즘' 때문에 올해는 더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쌓일 것으로 보이자 일본 정부는 뒤늦게 부랴부랴 쓰레기와의 전쟁을 선언했다. 이미 영국은 지난해 4월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판매를 금지하겠다고 발표하고, 이어 유럽연합(EU), 뉴질랜드, 프랑스 등이 동참 계획을 밝히는 등 선진국들은 일본보다 한발 빠르게 움직였다.

이달초 일본 정부는 정부 기관에서 플라스틱 빨대과 식기류 사용을 금지하고, 회의 등 행사시엔 플라스틱 물병을 나눠주지 말라는 계획을 발표해 오는 4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환경성은 현재 2030년까지 플라스틱 쓰레기를 25% 줄이는 안을 준비 중으로, 내달 중 공식 서명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지난해 6월만해도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서 미국을 따라 바다에 배출되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자는 '해양 플라스틱 헌장'에 서명을 하지 않았는데 태도가 바뀌었다. 당시 일본의 서명 거부에 국제 환경단체들은 강한 비난을 쏟아부었다.

변화의 조짐은 지난해 11월부터 나타났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당시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세안 정상회의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중국과 한국을 비롯한 아세안 국가들과 함께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을 모니터링하고 쓰레기 처리 기술을 제공하는 등 도움을 주겠다는 약한 수준의 동참 계획을 밝혔다.

오버투어리즘도 문제다. 정부의 대처가 미진하자 일본 교토 인근 가메오카시는 일본 최초로 내년부터 플라스틱 봉투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준비 중이다. 가메오카시는 18km에 달하는 호즈강변 일대가 우천시 떠오르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며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교토 인근 가츠라가와시 역시 관광객들로 쓰레기가 넘쳐나자 오는 4월부터 2030년까지 재활용 불가능한 플라스틱 쓰레기를 퇴출하겠다는 법안을 발효할 예정이고, 오사카시는 지난달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종이로 대체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본 기업들도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겠다고 속속 선언하고 있다. 스카이락 홀딩스는 지난해말 자사 레스토랑에 플라스틱 빨대 등을 공급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스타벅스 재팬과 호텔 체인을 운영하는 로얄 홀딩스 등은 2020년까지 플라스틱 빨대를 쓰지 않겠다고 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