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오송 복복선화, 영남지역이 반기는 까닭은?

머니투데이 세종=민동훈 기자 2019.02.06 08:01
글자크기

[예타면제사업 뜯어보기-'평택-오송' 복복선](2)총사업비 3.1조원, 고속철 병목구간 해소…남부내륙철도 KTX 투입위해 필수

편집자주 정부가 24조원 규모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대상 사업을 발표하면서 국민들의 평가가 팽팽히 엇갈리고 있다. 경제성이 떨어진다 해도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필요한 결정이라는 평가가 있는가 하면 2020년 총선을 겨냥한 선심성 정책이라는 비난도 만만치 않다. 머니투데이가 예타 면제대상 사업을 꼼꼼히 살펴봤다.



'평택~오송 복복선화' 사업은 최근 정부가 확정한 '2019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가운데 철도 인프라 분야의 핵심이다. 경부와 호남고속철도가 합류하고 KTX와 SRT가 교차하는 병목구간이다. 병목을 뚫지 않으면 수원발 KTX와 인천발 KTX 등 KTX 노선 신설과 수서고속철도(SRT) 열차 증편은 물론 신규 추진되는 남부내륙철도 역시 속빈 강정에 불과하다.

평택-오송 복복선화 사업은 지난달 29일 정부가 선정한 23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면제 사업에 포함됐다. 총사업비는 3조1000억원이 투입된다. 예타 면제 대상 가운데 사업비 4조7000억원이 투입되는 '김천~거제 간 남부내륙철도' 사업에 이어 두 번째 규모다.



복복선화는 현재 각각 1개였던 상행선과 하행선을 2개로 늘리는 것을 뜻한다. 현재의 복선 구조로는 하루 최대 열차 운행 횟수가 190회에 그친다. 실제론 안전 여건 등을 고려해 하루 176~186회를 운행한다. 평택까지 각자 노선을 달리던 서울발 KTX와 수서발 KTX는 평택~오송 구간에선 하나의 기찻길을 나눠 써야 한다. 따라서 배차에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고 증차는 생각도 하기 어려운 상태다.

현재 정부는 수원발·인천발 KTX 신설 작업에 이미 착수했고, SRT도 증편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복복선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2029년 내에 복복선화 사업이 완료되면 하루 기준 선로 용량이 190회에서 380회로 늘어난다.



평택~오송 복복선화는 이번 예타면제 대상 사업중 최대규모인 남부내륙철도와도 밀접하다. 김천에서 거제를 잇는 남부내륙철도가 놓여지면 서울과 거제를 2시간40분 만에 주파할 수 있다.

문제는 남부내륙철도에 KTX를 투입하려면 증차가 필수적인데, 현재 복선 구조로는 선로를 깐다고 해도 서울이나 수서 등에서 출발하는 열차를 필요한 만큼 투입할 수가 없다. 평택~오송 복복선화를 예타면제 한다고 했을 때 경남에서 쾌재를 불렀던 이유다.

국토교통부는 지상 레일인 현재 복선과 별도로 지하 터널을 뚫어 또 다른 복선을 만드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지상방식은 토지보상에 대규모 자금이 필요하지만 지면에서 40m 밑으로 대심도 터널을 뚫으면 토지보상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상으로 복복선화를 추진할 경우 토지보상에만 300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