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옥수수+POOQ, 넷플릭스 대항마 가능할까

머니투데이 김세관 기자 2019.01.15 18:15
글자크기

[ICT업계는 콘텐츠 전쟁中 -③]관건은 콘텐츠…통합 시너지 앞세워 콘텐츠 투자 추진

편집자주 "4G LTE(롱텀에볼루션) 시대 PC가 휴대폰으로 들어왔다면 5G(5세대 이동통신) 시대에는 TV가 폰에 들어올 것이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국제가전전시회) 2019' 현장에서 영상 콘텐츠 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 말이다. 영상 콘텐츠가 5G 시대를 이끌 킬러 서비스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를 앞두고 ICT(정보통신기술), 콘텐츠 산업간 빅뱅이 한창이다. '넷플릭스' 대항마를 꿈꾸는 ICT 기업들의 현황을 짚어봤다.

[MT리포트]옥수수+POOQ, 넷플릭스 대항마 가능할까


SK텔레콤 (51,500원 ▲100 +0.19%) OTT(온라인스트리밍서비스) '옥수수(oksusu)'와 지상파 방송사(지상파) 합작 OTT '푹(POOQ)'이 서로 합치기로 한 결정은 넷플릭스에 맞서기 위해선 OTT 사업 역량을 갖춘 토종 사업자간의 연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공감대 때문이다.

SK텔레콤과 지상파 3사는 빠르면 1분기 중 '옥수수'와 '푹' 운영조직과 서비스를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제휴로 지상파는 국내 1위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의 가입자로 이용자를 크게 늘릴 수 있다. SK텔레콤은 실시간 지상파 채널을 거의 독점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옥수수'와 '푹' 통합 서비스는 넷플릭스에 맞설 수 있는 국내 유일 대항마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 외형만 놓고보면 틀린 소리는 아니다. 옥수수와 푹의 가입자를 합치게 되면 가입자만 1300만명을 넘는다. 여기에 5G(5세대 이동통신) 시대에 맞춰 개발될 SK텔레콤의 스트리밍 및 초고화질 비디오 기술 기반 미디어 서비스와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 콘텐츠 추천 기술 등이 접목되면 플랫폼 완성도도 높아질 수 있다.

관건은 콘텐츠 경쟁력이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총 80억달러(약 8조9000억원)를 자체 제작 콘텐츠 제작에 투입 중이다. 여기에는 200억원을 투자한 영화 '킹덤' 등 한국 콘텐츠 4편이 포함돼 있다. 2016년 이후 넷플릭스가 한국 시장에 투자한 금액은 영화 '옥자', 드라마 '미스터선샤인', 유재석을 앞세운 예능 '범인은 바로 너' 등 1500억원에 달한다. 넷플릭스는 이미 드라마, 영화 등 국내 콘텐츠 투자계의 ‘큰손’으로 주목받고 있다.



반면 국내 콘텐츠 제작 환경은 제작비 증가 추세와 투자재원 감소 등으로 악화되는 추세다. 특히 지상파의 상황이 좋지 않다. MBC의 지난해 적자액만 1000억원이 예상된다. 지난해 3분기까지 KBS와 SBS도 각각 580억원과 200억원의 적자를 보였다. 그동안 국내 콘텐츠를 이끌었던 중심축들이 글로벌 경쟁사를 쫓아갈 만큼의 투자 여력을 갖기 힘든 상황이 됐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이번 통합 OTT 출범에 따른 시너지를 앞세워 대규모 투자유치를 단행하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투자를 받은 재원을 국내 콘텐츠 제작 및 투자에 적극 활용, 넷플릭스 등 글로벌 시장 OTT 경쟁자들과 대등한 경쟁을 하겠다는 복안이다.

박 사장은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국제가전전시회) 2019에서도 기자들과 만나 미디어의 변화와 콘텐츠 경쟁력을 거듭 강조했다.


박 사장은 "'옥수수'와 '푹'의 OTT 통합 발표는 우수한 한국 콘텐츠에 자본을 유치해 미디어 산업을 이끌기 위한 것"이라며 "통합 OTT에 제로레이팅(기업이 소비자 데이터 비용을 보전하는 서비스)을 적용하면 가입자가 대폭 늘어날 수 있고, 이를 앞세워 투자를 늘려 콘텐츠 산업을 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