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위 '선수교체' 끝…'민주 vs 한국' 올해 마지막 맞대결

머니투데이 이재원 , 강주헌 기자 2018.12.31 04:03
글자크기

[the300]한국 '강효상, 최교일, 이만희' 등 검경 출신 투입…민주 '박범계, 박주민' 법조계 '맞불'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11일 오전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결재서류를 보고 있다./사진=이기범 기자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11일 오전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결재서류를 보고 있다./사진=이기범 기자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2018년 마지막 '맞대결'을 벌인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과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출석하는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다. 각자 자원을 총동원한 운영위 선수교체까지 마친 상태다.

국회 운영위는 31일 전체회의를 열고 청와대 현안보고를 진행한다. 이날 한국당은 조 수석을 상대로 청와대의 민간인 사찰 의혹 등을 집중 추궁할 예정이다. 반대로 민주당은 김태우 수사관의 개인 비위에 초점을 맞추고 방어에 나설 전망이다.



이를 대비해 한국당은 지난 30일 △나경원 △정양석 △김도읍 △송언석 △이만희 △이양수 △최교일 △강효상 △전희경 △곽상도 의원 등 총 10명을 운영위 사보임 절차를 거쳤다.

나경원 신임 원내대표가 운영위원으로 보임하는 한편 이번 조 수석 출석을 맞아 검찰·경찰·언론인 출신인 '청와대 특감반 진상조사단' 의원(강효상·김도읍·이만희·정양석·최교일)들을 운영위에 전면 배치했다. 이들을 중심으로 적극 공세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청와대와 조 수석을 보호해야 할 민주당도 이에 맞서 법조계 출신 의원들을 운영위에 투입하며 전력보강에 나섰다. 민주당은 당 원내대변인인 강병원·권미혁 의원을 운영위에서 사임하고, 그 자리에 박범계·박주민 의원을 보임하기로 했다.

박범계 의원은 판사 출신이다. 참여정부 시절엔 민정2비서관을 지내기도 했다. 박주민 의원은 변호사 출신으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활동 중이다. 당 최고위원이기도 한 그는 최고위원회의에서도 해당 사건을 계속 담당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전체회의에서 해당 사건에 대한 팩트체크를 담당할 예정이다. 운영위에서 사임된 강병원·권미혁 원내대변인은 브리핑 등을 통해 장외 지원사격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한국당은 최종구 금융위원장, 조명래 환경부 장관, 박천규 환경부 차관과 청와대의 주요 비서관 등의 출석을 추가로 요구하기도 했다.

정양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전날 국회 정론관에서 청와대 특감반 진상조사단 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며 "특감반 비리 관련해 연결고리를 맡고 있는 청와대 민정비서관, 정무비서관, 공직기강비서관, 반부패비서관 등의 출석을 요구한다"며 "김태우 수사관의 직속상관인 이인걸 전 특감반장도 출석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김태우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원(수사관)이 폭로한 각종 의혹과 논란의 당사자들을 겨냥한 셈이다.

이어 "유재수 부산시 경제부시장이 비위 의혹과 관련해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출석해야 하고 김상균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도 비위 의혹을 확인하겠다"며 "환경부 블랙리스트 관련해 조명균 장관과 박천규 차관 출석도 여당에 요구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국정조사‧감사가 아니고 위원회 출석이기 때문에 여야 3당 간 의논과 합의가 필요하다"면서도 "합의가 잘 이뤄질 걸로 기대하고 오전에 (합의가) 이뤄지면 오후에라도 당사자들이 출석해서 진실규명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 원내수석부대표는 "국민이 보기에 만족스러운 운영위로 진실규명이 안 됐다고하면 당연히 국정조사나 특검으로 가야하지 않겠나"라며 "그런 사항에 대해 내일 진행상황을 보며 국민여론을 잘보며 정하겠다"고 했다.

한국당 청와대 특감반 진상조사단장 김도읍 의원은 "우윤근 주러대사 비위 의혹부터 대통령 자녀의 수상한 주택거래까지 지금껏 제기된 모든 의혹에 대해 사실관계 확인 및 증명‧증거를 가지고 회의에 임해달라"고 강조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