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수소전기차→수소산업'…판 키우는 현대차

머니투데이 김남이 기자 2018.12.27 18:09
글자크기

[수소차株 열풍, 제대로 알기]현대차그룹, 연료전지공급 기업 목표…"'퍼스트 무버'될 것"

현대차 (289,500원 ▲1,000 +0.35%)그룹은 수소전기차에서 ‘수소산업’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세계 첫 수소전기차 양산 등을 통해 미리 선점한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수소경제를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은 지난 11일 "현대차그룹이 머지않아 다가올 수소경제라는 신산업 분야의 ‘퍼스트 무버’로서 수소사회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기업 33곳이 참여하는 수소위원회는 2050년 수소 관련 산업에서 연간 2조5000억달러(2835조원)의 시장 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MT리포트]'수소전기차→수소산업'…판 키우는 현대차


연구기관마다 편차가 있지만 현대차그룹은 2030년 글로벌 수소전기차 시장이 연 200만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봤다. 미국 컨설팅업체 맥킨지도 2030년 최대 220만대를 예상했다. 중국, 미국, 일본 등 주요국(8개국)의 2030년 보급 목표는 780만대다.

1998년부터 연구가 진행된 현대차의 수소전기차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현재 수소전기차를 양산하는 기업은 현대차와 일본의 토요타, 혼다 등 3곳뿐이다. 미국 자동차 전문 미디어 ‘워즈오토’는 수소전기차 ‘넥쏘’의 파워트레인을 ‘2019 세계 10대 엔진'에 선정했다.



수소전기차 개발에 참여했던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넥쏘’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신기술이 적용됐다"며 "유럽 유수의 자동차업체 연구원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기술이 앞서 있다"고 말했다.

기술은 확보했지만 문제는 규모다. 규모의 경제가 구축돼야 가격에서 경쟁력 생긴다. 이에 정부는 수소전기차 보급 목표를 2022년 1만5000대에서 6만5000대로 4.3배 늘렸다. 보급목표 상향→생산 증가→규모의 경제→가격 하락→수출 증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수소전기차에 부품을 공급하는 협력사도 함께 키우겠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현재 약 130곳의 중소 협력사들이 연료전지시스템에 들어가는 부품 공급을 담당하고 있다.


현대차그룹도 현재 연 3000대인 수소전기차 생산능력을 △2020년 1만1000대 △2022년 4만대 △2030년 50만대까지 늘릴 예정이다. 주요부품 협력사와 2030년까지 총 7조6000억원을 투자한다. 현대모비스는 연료전지시스템을 생산하는 제2공장을 건설 중이다.

현대차그룹은 향후 연료전지시스템을 △다른 자동차 제조사 △선박·철도·지게차 등 운송분야 △전력 생산 및 저장 등 발전분야에 공급할 계획이다. 2030년 연료전지시스템 20만기를 외부에 판매하는 것이 목표다. 현대모비스는 ‘2019 CES’에서 연료전지를 선박이나 드론, 도시 비상발전 전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미 연료전지는 다양한 곳에서 연구·개발 중이다. 프랑스 알스톰이 캐나다 연료전지업체 하이드로제닉스와 함께 독일에서 수소전기기차 실증사업을 추진 중이고, 수소전기지게차는 아마존과 월마트가 지분을 보유한 미국 기업 플러그파워가 제품을 판매 중이다.

현대차의 최대 경쟁자로 꼽히는 토요타는 계열사 아이신정밀기계에서 가정용 연료전지 판매 중이고, 수소전기지게차를 시험 사용 중이다. 토요타도 2020년 수소전기차 연 3만대 생산을 위해 연료전지 생산시설을 확충 중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