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 CEO 정권교체 후 "전원교체"

머니투데이 한은정 기자, 변휘 기자 2018.12.17 04:26
글자크기

BNK·DGB·JB금융 회장, 6개 지방은행장 1년7개월 교체…'친정권' 인사 선임 행렬

지방은행 CEO 정권교체 후 "전원교체"


현 정부 출범 후 지방은행 CEO(최고경영자)가 전원 교체됐다. BNK·DGB·JB 등 3대 금융지주사 회장이 모두 새 얼굴로 바뀌며, 6개 지방은행장도 내년 초 임기가 끝나는 전북은행장까지 모두 교체된다. 수장 교체의 표면적 이유는 임기만료를 비롯해 각종 비위 문제였지만 일각에선 '보이지 않는 손'의 영향을 주목하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새로 선임된 김지완 BNK금융 회장, 올해 5월 김태오 DGB금융 회장에 이어 JB금융 역시 내주 김한 회장의 뒤를 이을 차기 회장 후보 선임을 앞두고 있다.

JB금융은 차기 회장 후보를 김기홍 JB자산운용 대표와 신창무 프놈펜상업은행장 등 2인으로 압축했다. 은행 계열사 수장인 임용택 전북은행장과 송종욱 광주은행장이 유력 후보로 거론됐던 만큼, 이들의 이탈을 두고 '예상 밖'이란 반응이 많다.



금융권에선 은행·보험 등 다양한 업권을 경험한 김기홍 대표의 선임 가능성을 점치면서 그의 이력에 주목하고 있다. 김 대표는 과거 한국조세연구원 전문위원, 보험개발원 연구조정실장 자리에 있다 1999년 이헌재 당시 금융감독원장의 발탁으로 금감원 부원장보로 옮겼다.

김대중·노무현 정권에 걸쳐 두 차례 재정경제부 장관을 지낸 이헌재 전 장관과 주변 인사들을 일컫는 이른바 '이헌재 사단'은 국내 경제·금융권의 핵심 인맥이다. 현 정부 출범 후에도 최흥식 전 금감원장 등 금융권 내 유력 인사들을 여럿 배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김기홍 대표 역시 이헌재 사단 일원으로 평가받는다.

◇BNK, DGB 이어 JB금융까지 줄줄이 교체= BNK금융과 DGB금융은 비위로 인한 전임 회장 겸 행장의 낙마, 회장·행장의 분리, 외부 공모에 이어 후보군 중 열위에 있었던 친정부 인사가 선임됐다는 점이 닮아 있다. 지난해 선임된 김지완 회장은 노 전 대통령과 부산상고 동기며, 문재인 대통령과는 2012년 대선 캠프에 경제고문으로 참여했던 인연이 있다.


김지완 회장과 김태오 회장은 이른바 '김승유 사단' 멤버라는 공통점도 가졌다. 김지완 회장은 2008년 하나금융 부회장 겸 하나대투증권 사장으로, 김태오 회장은 2008년 하나금융 부사장 시절 각각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과 호흡을 맞췄다. 김승유 전 회장은 장하선 전 청와대 정책실장과 경기고, 고려대 경영학과 동문이다. 두 사람의 부인에도 불구했지만 '김승유 사단'이 BNK금융과 DGB금융의 수장에 선임되면서 뒷말을 낳았다.

지방은행 중에선 빈대인 부산은행장과 송종욱 광주은행장이 지난해, 황윤철 경남은행장이 올해 선임된데 이어 내년에는 임용택 전북은행장이 내년 3월 임기를 앞두고 있다. 임용택 행장은 최근 JB금융 회장 후보 '롱리스트'에 오른 경쟁자였던 탓에 회장 교체 후 연임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대구은행의 경우 박인규 전 회장 겸 행장이 물러난 이후 9개월째 공석인 가운데 김태오 회장 취임 이후 DGB금융과 대구은행 간 '대구은행장 후보 추천권'을 둔 갈등이 심화되며 행장 선임이 지연되고 있다.

◇지방은행 CEO 교체 배경,"전국은행보다 관심 적어"= 금융권에선 이처럼 지방은행 CEO들이 완전 교체된 배경을 두고 전국 단위 영업중인 시중은행 대비 여론의 관심이 비교적 적은 데다 외풍에 취약한 지배구조 탓이란 분석이 나온다.

예컨대 최근 우리금융지주 회장 내정 과정에선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예금보험공사의 '입김' 여부를 두고 논란이 빚어지면서 예보가 개입을 주저했지만, 지방은행 CEO 교체 과정에선 비교적 잡음이 적었다는 평가다. 은행권 관계자는 "김지완 회장, 김태오 회장도 외부 출신에다 친정권 인사라는 논란이 제기됐지만, 선임 절차는 큰 잡음 없이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외풍에 취약한 지배구조 역시 또 다른 이유로 꼽힌다. BNK금융의 최대주주인 롯데그룹, JB금융의 최대주주인 삼양사는 모두 약 10% 정도의 지분을 보유해 CEO 선임 등에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하기는 부족하고, DGB금융의 경우 기관투자자들이 주요 주주인 탓에 사실상 '주인 없는' 회사다.

은행권 관계자는 "전 정권에선 정권 실세의 금융회사 인사 개입 대상이 전국 단위 대형 금융지주사였던 반면 현 정부 들어선 지방은행 위주로 세분화되고 있다"며 "지방경기 침체로 지방은행의 역할이 중요해진 요즘 자칫 은행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훼손하고 경쟁력도 끌어내리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