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해외펀드 기준가격 산정 변경 검토

머니투데이 송정훈 기자 2018.10.10 04:30
글자크기

[펀드 기준가격 산정제도 바꿔야-下]금융위·금감원, 올 하반기 방안 확정 예상

금융당국이 불합리한 펀드 기준가격 산정제도 개선 작업에 착수했다. 연내에 해외펀드의 당일 기준가격 산정 시간을 익일(다음날)로 하루 늦추는 방안 등을 확정할 예정이어서 제도 개선 수위가 주목된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9일 "업계 의견을 토대로 올 하반기 중에 펀드 기준가격 산정제도 개선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금융감독원은 지난 3월 사무관리회사와 은행·증권사 등 판매사, 자산운용사 등이 참여하는 펀드 기준가격 산정 관행 개선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 여기서 지난 7월 개선 방안을 마련, 금융위원회에 전달했다.



금융당국, 해외펀드 기준가격 산정 변경 검토


◇펀드 기준가격 제도 개선…해외펀드 익일로 변경 추진= 당국은 해외펀드의 당일 기준가 산정시간을 다음날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해외펀드 기준가를 당일 밤늦게 산정해 다음날 오전까지 공시하지 않고 전일 종가와 거래내역을 반영해 다음날 산정 후 검증을 거쳐 그 다음날(이틀 후) 오전, 판매사 영업 개시 전에 공시하는 방안이다. 현재처럼 하루 전이 아니라 이틀 전 종가와 거래내역으로 기준가를 산정한다는 것이다.

해외펀드는 현재 중국과 일본, 홍콩, 대만, 싱가포르, 호주 등 한국과 시차가 1시간 30분 이내 국가는 당일에, 베트남과 인도, 러시아, 런던, 미국, 브라질 등 시차가 1시간 30분 이상인 국가는 하루 전 종가를 반영해 기준가를 산정한 뒤 다음날 공시한다.



국내펀드는 당일 오후 특정시간을 기준으로 편입자산 종가나 시가 등 자료를 취합해 늦어도 당일 오후 7시 전에 기준가 산정과 검증을 마무리한 뒤 그 다음날 오전까지 공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펀드 판매사 반대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 있어=사무관리 업계는 당국 방안이 시행되면 안정적인 펀드 기준가 산정 관행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했다. 기준가격을 당일 밤늦게 시간에 쫓겨 산정하는 관행이 없어져, 기준가격 오류도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사무관리회사 관계자는 "펀드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펀드 상품 수가 늘어 펀드 기준가격 오류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며 "이번 제도 개편안이 시행되면 펀드 기준가격 오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판매사들의 반대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판매사는 펀드 거래 시 적용되는 기준가격이 전일 종가가 아닌 이틀 전 종가나 시가가 반영되면 최근 종가 등 정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투자자 혼선과 펀드상품 경쟁력 약화로 판매위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한 판매회사 임원은 "한국과 시차가 크지 않은 중국 등 일부 해외펀드의 기준가격 종가 반영기준이 하루 늦춰지면 주가나 편입자산 급등락 움직임과 동떨어질 수 밖에 없어 투자자 혼선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때문에 투자자들이 가입을 미루고 환매를 앞당기면서 펀드 경쟁력이 하락하고 시장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사무관리회사에 기준가격 산정을 위탁하는 자산운용사에서도 운용과 판매(마케팅) 부서 간 찬반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펀드 판매실적이 중요한 마케팅부서는 판매사처럼 제도 개선에 반대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매니저 등 운용 전문가들은 기준가격이 잘못 산정돼 실제보다 높으면 매입시, 낮으면 환매시 투자자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 기준가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제도 개선에 우호적인 분위기"라고 전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