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올해 낸드플래시·내년 메모리반도체 생산…韓 맹추격

머니투데이 세종=최우영 기자 2018.08.19 11:00
글자크기

당분간 영향 미미하지만 장기적인 위협될 수 있어 품종 다양화 위한 중소기업 지원 필요

중국이 올해부터 낸드플래시 반도체를 생산하며 한국 기업들이 주도하는 반도체시장에 도전장을 내밀 것으로 보인다. 당장의 위협은 될 수 없지만, 대기업에 치중된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메모리반도체 투자에서 벗어나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전환해야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19일 발표한 '반도체 산업의 2018년 하반기 전망' 보고서에서 중국이 원천기술 확보, 적극적 M&A(인수합병) 등 정부의 반도체 산업 지원을 통해 올해 연말부터 낸드플래시를, 내년부터 메모리반도체를 생산할 것이 유력하다고 바라봤다.



이는 중국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에 힘입은 것이다. 지난해 반도체 부문에서 190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중국은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을 70%로 높인다는 목표 아래 외국의 인재와 학자를 영입하는 등 기술 확보를 위해 주력해왔다.

연구원은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가 당장 세계시장의 요구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저가의 중국 로컬 제품에 사용될 경우 국내 기업들의 시장이 줄어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한국의 반도체 수출에서 중국 비중은 39.5%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이 장기적으로 국내 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또한 한국의 주력상품인 메모리반도체의 전세계 반도체 시장 비중은 약 20%다. 한국 기업은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약 70%를 공급하지만 반도체 전체 시장 점유율은 약 16%에 불과하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연구원은 "우리 기업은 중국 내수 시장은 일부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받아들이고, 중국 기업과의 기술 초격차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 지속적이며 과감한 R&D 투자가 필요하다"며 "대기업이 주도하는 메모리반도체는 물론 다품종 소량생산의 시스템반도체를 적극 개발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반도체는 올해 하반기에도 여전히 수출을 이끌어갈 전망이다. 연구원은 유가상승과 보호무역주의 등 대외적 요건도 반도체 수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과 중국의 상호 보복관세에 반도체도 포함돼있지만 중국과 한국의 반도체 집중분야가 다르고 기술수준이 차이 나기 때문이다.


다만 양국의 무역전쟁으로 중국의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전자제품 수요가 축소되거나, 중국에서 생산하는 전자제품의 대외 수출이 감소할 경우 대중국 수출 비중의 높은 한국 반도체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바라봤다.

대신 세계경제 성장에 따른 글로벌 수요 변화와 메모리반도체의 여전한 글로벌 공급부족 등은 한국 반도체 수출의 호조세를 지속시킬 요인으로 분석됐다.



주요수출시장 중 지난해 39.5%의 비중을 차지한 중국은 전자제품의 고사양화로 수요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9.5% 비중의 베트남 역시 국내 전자기기 업체의 현지생산 확대로 인해 수출 역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수출 비중 4.5%의 미국 역시 4차산업혁명 주도산업의 발달로 핵심부품용 반도체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근로시간 단축, 최저임금 인상 등의 국내 요인도 반도체 산업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으로 분석됐다. 그동안 확충한 국내 생산시설은 글로벌 공급부족을 해소하기에 충분하다는 평가다.

산업연구원은 그동안 한국이 메모리반도체를 집중 육성했기 때문에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상대적으로 열악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 목적용 시스템반도체 육성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또한 주요 수출국이 중국이라는 점도 향후 한국 반도체 산업이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