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역할론'에 '빅텐트론'까지…'갈등' 한국당, 쇄신 공감대 찾을까

머니투데이 강주헌 기자 2018.06.21 04:00
글자크기

[the300]21일 의원총회에서 당 수습 방향 놓고 토론…'짙은 계파색' 합의 도출엔 우려 목소리

김성태 자유한국당 대표권한대행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현안 관련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이동훈 기자김성태 자유한국당 대표권한대행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현안 관련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이동훈 기자


6·13 지방선거 참패 후 당 쇄신 방향을 놓고 내부 갈등을 겪는 자유한국당이 의원총회를 열어 혁신안에 대한 구성원의 공감대를 찾아나선다. 중앙당 해체 등 김성태 당대표권한대행의 수습 방안을 둘러싸고 당 내 반발과 계파 갈등이 드러난 가운데 당을 수습할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구성 여부부터 김 대행의 역할이나 정계 개편 방안 등 다양한 쇄신 대책이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한국당은 21일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비대위(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 등을 포함한 당 수습 방향을 논의한다. 김 권한대행이 쇄신안을 발표한지 사흘 만이다. 전날 김 권한대행은 의원총회과 관련 "쇄신 내용에 대해서 전체 의원들에게 자세하게 공유하겠다"며 "혁신비대위 구성 전까지 우리들이 할 수 있는 중앙당 쇄신을 위해 폭넓은 공감을 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의총에서는 당 수습을 위한 비대위 구성 등에 대해 토론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당 소속 의원 대다수는 비대위 체제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는 분위기다. 한 재선 의원은 "김 권한대행이 공감대 없이 성급하게 혁신안을 발표한 측면이 있다"면서도 "당 수습과 관련 의원 간 활발한 토론을 통해 결국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는 퍼즐을 맞춰가야 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다만 이날 일단 의총이 열려도 당 내 계파마다 의견이 달라 합의 도출에는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의견 수렴을 위한 의원총회를 앞두고도 물밑에서 계파 간 신경전과 김 권한대행에 대한 견제는 계속되고 있다.


한 친박계 재선 의원은 "김 권한대행이 말하는 중앙당 해체는 당이 개선해야 할 방향 중 하나일 뿐이지 선거 참패를 책임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당이 위기에 빠져있는데 역시나 계파 대립 형태로 흘러가는 게 안타깝다"고 밝혔다.



전날 친박계 맏형 격인 서청원 의원이 탈당한 일에 대해서도 견제가 이어졌다. 바른정당 출신 복당파인 한 비박계 의원은 전날 친박계 맏형 격인 서청원 의원이 탈당한 것과 관련해 "당내 분란을 막기 위해 탈당한 것은 높게 평가한다"면서도 "다만 탈당 이후 친박계 배후에서 조종한다는 의심을 살 모습을 보인다면 정말 비겁한 일이 아니겠냐"고 말했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대표 권한대행의 중앙당 해체 및 당명 교체 혁신안이 발표된 가운데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초선의원 회동에서 김성원 의원이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이동훈 기자김성태 자유한국당 대표 권한대행의 중앙당 해체 및 당명 교체 혁신안이 발표된 가운데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초선의원 회동에서 김성원 의원이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이동훈 기자

계파 다툼에서 벗어나 대표권한대행과 혁신비대위의 역할을 명확하게 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초선 의원은 "비대위 체제로 가기 전에 권한대행이 어디까지 역할을 할 건지, 비대위는 어떤 성격으로 언제까지 존치할 건지 우선 명확히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중진 의원도 "비대위가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당내 합의가 전혀 없다"면서 "그동안 위기상황 때마다 비대위를 만들자하고 모든 책임을 떠넘기고 회피해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당을 해산하고 '빅텐트'를 쳐서 창당 준비를 할지, 당을 해산하진 않고 재창당 수준의 전당대회 룰을 만들 건지 논의도 필요하다"며 "이런 논의가 전제된 뒤에 비대위의 권한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한국당 의원들은 지방선거 패배 직후 나온 수습 방안에 대해 비슷한 계파와 부류끼리 모여 의견을 나눴다. 모임마다 각자 엇갈린 의견을 내 어수선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일부 의원들은 개별적으로 언론 인터뷰에 나서며 김 원내대행의 혁신안을 견제하거나 두둔하는 입장을 내놨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대표 권한대행의 중앙당 해체 및 당명 교체 혁신안이 발표된 가운데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초선의원 회동에서 한 의원이 자신의 스마트폰에 메모를 하고 있다. /사진=이동훈 기자김성태 자유한국당 대표 권한대행의 중앙당 해체 및 당명 교체 혁신안이 발표된 가운데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초선의원 회동에서 한 의원이 자신의 스마트폰에 메모를 하고 있다. /사진=이동훈 기자

이 과정에서 지난 19일 초선의원 모임에 참석했던 한 의원의 휴대전화 메모가 공개되면서 비박계로 분류되는 '복당파'와 친박 의원 간 계파 대결이 격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친박과 비박 간 싸움이 격화돼 세력화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메모에 담겨 있었다. 뚜렷한 계파색이 없는 초선 의원은 별도의 회동을 갖고 당 내부 분열을 경계하고 나선 상태다.



한편 한국당은 당 운영 경비를 최대한 절감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를 다음 달 중 영등포구로 이전하기로 했다. 매달 1억원씩 내던 임차료가 2000만원으로 준다. 한국당 관계자는 전날 "늦어도 다음 달 말까지 (당사를) 이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