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文 프로세스'…북미직접대화-남북채널복원 관건

머니투데이 최경민 기자 2018.05.25 14:53
글자크기

[the300]文 귀국 직후 북미회담 취소 타격…'25일' 언급도 먹히지 않아

위기의 '文 프로세스'…북미직접대화-남북채널복원 관건


'문재인 프로세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미 정상회담 취소로 타격을 입었다. 청와대는 신중하게 현재 상황에 대응하면서, 북미 직접 대화 촉구 및 남북 채널 복원 등을 통해 중재자의 위치를 회복한다는 방침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 백지화 직후인 25일 오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 긴급회의를 주재하고 "당혹스럽고 유감"이라며 "정상간 보다 직접적이고 긴밀한대화로 해결해 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는 포기할 수도, 미룰수도 없는 역사적 과제다.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온 당사자들의 진심은 변하지 않았다"며 "지금의 소통방식으로는 민감하고 어려운 외교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밝힌 대로 청와대는 당혹스러운 모습을 숨기지 않았다. 청와대는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그 성사 가능성이 '99.9%'라고 자신감을 보여왔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다음달 12일 싱가포르에서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자"는 것에 뜻을 함께 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북핵 중재자'로의 위상에 흠집이 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방미를 마치고 24일 귀국하자 마자 북미 정상회담 취소 소식을 알렸다. 문 대통령이 최근의 냉랭한 남북미 테이블과 관련해 "25일이면 상황이 변할 것"이라고까지 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기다려주지 않았다. 맥스선더 훈련 이후 남북간 소통도 끊긴 상황이다.

북핵과 관련한 '문재인 프로세스' 역시 위기다. 문 대통령은 '북핵 중재자'로 '비핵화→종전선언→평화체제 구성'의 프로세스를 추진해왔다. 하지만 북미 정상회담이 백지화됨에 따라 첫 단계인 비핵화의 문턱에서부터 타격을 받았다. 북한에 대한 '보증인', 미국에 대한 '메신저' 역할을 바탕으로 평화적인 협상을 중재해왔지만, 이제 협상의 '키'는 온전히 트럼프 대통령의 손으로 들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식이 평화적일지, 우리에게 우호적일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직접 대화'를 언급한 것처럼, 협상이 완전히 무산되지는 않은 것에 초점을 맞췄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향해 "마음이 바뀌면, 내게 전화하거나 편지쓰는 것을 주저하지 말아달라"고 한 것에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 정상끼리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을 찾아서 긴밀하게, 직접적으로 대화를 해나갔으면 좋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협상 의지는 진정성이 있었지만, 회담 과정에서 소통방식의 문제가 북미 정상회담의 덜미를 잡았다고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번 북미 정상회담이 무산된 계기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에 대해 쏟아낸 비난이 꼽히고 있다.

북미간 대화를 촉구하면서, 동시에 남북 채널의 복원 역시 노릴 것이다. 중재자 역할의 복원은 역시 미국에 대한 '메신저' 역할을 회복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전격적으로 핫라인 통화를 하며 돌파구를 마련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청와대는 최대한 신중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문 대통령의 NSC 상임위원 회의 발언 외에는 일체의 메시지도 내지 않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의 메시지에 우리의 향후 프로그램이 녹아있다고 보면 된다"며 "남북 고위급 회담의 준비는 계속 하는 것이고 성사 여부는 아직 미정이다. 핫라인 통화도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