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소환' 주사위 던진 檢…수사대상 친인척·측근만 20여명

뉴스1 제공 2018.03.07 05:55
글자크기

100억대 뇌물+직권남용·대통령기록물법 위반 혐의
측근 줄줄이 압수수색·소환조사…"자료 충분"

=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검찰이 이명박 전 대통령(77)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한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와 첨단범죄수사1부(부장검사 신봉수)는 이 전 대통령에게 14일 오전 9시30분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고 전날(6일) 밝혔다.

검찰은 혐의 입증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검찰 관계자는 "이 수사를 시작하면서 차분히 시간을 갖고 사실관계 규명 자료들을 충실하게 수집하겠다는 말씀을 드린 적 있다"며 "그동안 그런 과정이 진행됐고 수사가 쌓여서 이 전 대통령 소환조사가 필요한 단계에 이른 것"이라고 밝혔다.



부인, 아들, 형제와 조카, 사위까지 고구마줄기 처럼 드러나는 이 전 대통령 일가의 전방위 의혹의 중심에 이 전 대통령이 있다. 친인척·최측근들의 혐의를 종합해보면 이 전 대통령의 혐의도 어렵지 않게 유추할 수 있다.

검찰은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인사청탁 등 명목으로 이상주 삼성전자 전무(48·MB 맏사위)에게 14억5000만원을, 이상득 전 국회의원(83·MB 둘째형)에게 8억원을 전달한 혐의를 포착했다.



김소남 전 의원이 공천을 위해 4억원 상당을 건넨 의혹과 고속도로 휴게소 및 건설사를 운영하는 중견기업 대보그룹이 관급공사 수주를 위해 이 전 대통령 측에 수억원을 건넨 정황도 있다.

검찰은 최근 천신일 세중나모그룹 회장(75)과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81), MB정부 시절 '왕차관'으로 불린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청계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는 송정호 전 법무부 장관 등이 불법자금이 흘러간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상득 전 의원은 앞서 국정원의 인도네시아 대통령특사단 숙소침입 사건으로 불거진 위기를 넘길 것을 기대한 원세훈 전 국정원장으로부터 1억원의 특수활동비를 수수한 혐의도 받고 있다.


김윤옥 여사(71)는 김희중 전 대통령 제1부속실장(50)으로부터 특활비 1억여원을 달러로 건네받은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도곡동땅 매각자금의 흐름과 주변 인물들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다스의 실소유주라고 결론내렸다. 이상은 다스 회장(MB 큰형)과 이 회장의 아들 이동형 다스 부회장, 이시형 SM 대표(43·MB 아들)는 다스 관련 의혹으로 검찰 조사를 받았다.

이동형 부회장은 고철사업체로부터 리베이트 6억3000만원을 받은 혐의(배임수재)로 현재 MB 일가 중 유일하게 재판에 넘겨진 상태다.

검찰은 이 전 대통령 직접조사에 앞서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탄탄히 진행해왔고, 일부는 재판에 넘겼다.

검찰은 우선 국정원 특활비 4억5000만원을 수수한 혐의로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78·구속기소)을 방조범으로, 이 전 대통령(뇌물수수)을 주범으로 명시했다.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52·구속기소)의 5000만원, 장다사로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61·영장기각)의 특활비 10억원 수수 혐의도 있다.

다스의 미국 소송비와 BBK 투자금 반환과정에도 이 전 대통령이 깊숙이 개입한 혐의도 있다.

검찰은 이학수 전 삼성전자 부회장이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특별사면을 기대하고 다스의 미국 소송비용 대납액 60억원을 뇌물로 보고 있다.

또 이 전 대통령은 김재수 전 LA 총영사와 함께 다스가 BBK 투자금 140억원을 먼저 반환받은 것과 관련해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의 피의자 신분이다.

아울러 이 전 대통령의 자금관리인 이영배 금강 대표(구속)와 이병모 청계재단 사무국장(구속기소)에 대한 혐의도 이 전 대통령과 연결될 수 있다. 검찰은 이들이 금강 등 다스 관계사에서 횡령한 비자금이 이 전 대통령측에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다스 서울사무실이 위치한 영포빌딩 지하2층에서 'BH(청와대)'가 기재된 박스 수십개에 대통령기록물을 보관한 대통령기록물법 위반 혐의도 받는다.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이 출석하기 직전까지 관련자들을 소환해 뇌물수수 혐의 보강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지난 1월 17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사무실에서 검찰의 국정원 특수활동비 의혹 수사 등과 관련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2018.3.6/뉴스1이명박 전 대통령이 지난 1월 17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사무실에서 검찰의 국정원 특수활동비 의혹 수사 등과 관련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2018.3.6/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