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인구 10명 중 3명 정도(27.9%)는 20~30대다. 이들을 대표할 국회의원 중 30대는 단 두명 뿐. 전체 의석 300석 중 0.67%에 그친다. 젊은 층을 대변할 목소리가 적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대의민주주의의 뿌리가 흔들린다는 비판도 있다.
애초에 기회가 적었다. 지난해 총선 예비후보 중 20~30대는 원내 4당 모두 합쳐 43명에 불과했다. 20~30대 청년 정치인에게도 자격은 있다. 만 25살이 되면 피선거권을 얻는다. 국회의원은 물론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국회의원 중 절반 이상(161명)은 50대다. 60대 81명, 40대 50명이 뒤를 있는다. 70대 의원도 5명 있다.
'86세대'로 통칭되는 과거 학생운동 출신 정치 지도자들이 여전히 국회의 주도권을 잡고 있다. 20~30대 나이로 국회에 입성한 이들은 50대에 접어든 지금까지 힘을 쌓고 있다.
이 시각 인기 뉴스
그러다보니 입법도 '서오남(서울대 출신 50대 남성)' 중심으로 이뤄지는 분위기다. 이에반해 청년층은 다른 정치세력에 비해 집단화가 덜 돼 있다. 지지기반이 약해 소수의 청년 정치인이 국회에서 큰 목소리를 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의원 평균 연령이 높다보니 시스템도 낡아간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빈 민주당 디지털대변인은 "이제는 그래픽시대인데. 의정활동이나 당 최고위원회 등도 모두 문서 위주"라며 "청년들은 그래픽에 익숙하고 민주당 지지자 중 20~40대도 많은데 당원들이 답답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강연에서 만난 청년들 중 사회에 대한 불신을 갖고 있는 분들이 있었다"며 "형이나 누나같은 (젊은) 사람이 있다거나 나도 저런(법안) 생각했는데라고 느끼면 더 공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