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명 숨진 한강인도교 참사…67년간 위령비 하나 없어

뉴스1 제공 2017.10.14 07:05
글자크기

한강대교 100주년 맞은 올해도 건립 난항
서울시, 내년 노들섬 완공 후 재검토 가닥

(서울=뉴스1) 장우성 기자 =
20일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이달의 기록' 주제를 ’호국보훈의 정신, 기록으로 되새기다’로 정하고 관련 기록물을 공개했다. 사진은 1950년 피난민들이 폭파된 한강 인도교 대신 놓인 부교를 통해 강을 건너는 모습이다.(국가기록원 제공) 2016.6.19/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20일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이달의 기록' 주제를 ’호국보훈의 정신, 기록으로 되새기다’로 정하고 관련 기록물을 공개했다. 사진은 1950년 피난민들이 폭파된 한강 인도교 대신 놓인 부교를 통해 강을 건너는 모습이다.(국가기록원 제공) 2016.6.19/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사상 최초로 건립된 한강교량인 한강대교가 올해 100주년을 맞았다. 1세기에 이르는 역사 중 가장 충격적이었던 일은 1950년 6·25전쟁 때 일어난 한강인도교 폭파사건이 꼽힌다.

당시 정부의 오판으로 한강다리를 예고없이 폭파해 피난길의 무고한 시민 최대 80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교량이 끊겨 발이 묶인 사람들은 납북되거나 고통을 겪었다. 그런데도 추모사업은 둘째치고 변변한 위령비 하나 설치하기 쉽지않은 실정이다.



14일 현재 한강대교에는 2016년 말 서울시가 설치한 '한강인도교 폭파현장' 표석이 하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용산방면에서 다리로 이어지는 보도 바닥에 있어 주의깊게 보지않으면 찾기 힘들 정도다.

인도교 폭파사건 희생자 위령비를 세우자는 목소리는 꾸준했다. 평화재향군인회와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피학살자 전국유족회는 2007년부터 참사가 일어난 6월28일 한강대교 둔치에서 합동위령제를 지내왔다. 이와함께 서울시에 10년 가까이 위령비 건립을 건의했지만 별 관심을 보이지않았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그나마 한강대교 건립 100주년인 올해 들어서 가능성이 보였다. 김경자 서울시의원(국민의당·강서2)은 지난 2월 임시회 5분 발언에서 한강인도교 폭파사건 희생자 위령비 건립을 촉구했다. 김경자 의원은 "사건 6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정부 차원에서 희생자를 위해 어떠한 애도행위도 한 적이 없다"며 "살아남은 유족들이 잠시나마 위안을 받을 수 있도록 서울시라도 위령비를 건립해야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이 물꼬를 텄지만 순조로운 것만은 아니다. 서울시는 한강대교 밑 노들섬을 음악 중심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2018년말 완공을 목표로 14일 착공식을 겸한 '노들축제'도 개최한다.

위령비 자리로 지목되는 지점은 한강대교로 진입하기 직전 노들섬과 이어지는 버스정류장 인근이다.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노들섬특화공간조성위원회는 위령비 문제를 논의했으나 문화공간으로 변신할 노들섬의 콘셉트와 맞지않는다며 부정적인 결론을 내렸다. 결국 조성계획에 포함되지 못했다.


한강대교에는 1965년 한강백사장에서 낙하산 훈련 도중 동료를 살리고 순직한 이원등 상사를 기리기 위해 특전사가 설치한 동상도 있다. 이 동상은 현재 위치에서 길 건너 노들섬 녹지 쪽으로 옮기기로 합의됐다. 그러나 특화공간조성위원회는 이원등 상사 동상이 옮겨갈 녹지 방면에 위령비를 세우는 것도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음악중심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될 노들섬 조감도. 노들섬과 아랫쪽 다리 경계 가까운 부분이 사고 당시 폭파지점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제공)© News1음악중심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될 노들섬 조감도. 노들섬과 아랫쪽 다리 경계 가까운 부분이 사고 당시 폭파지점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제공)© News1
김경자 의원은 "국민을 지켜야할 정부의 잘못으로 1000명 가까운 목숨을 한꺼번에 잃었다. 한강대교 100년 역사상 이보다 더 잊지말아야 할 일이 있는가"라고 거듭 위령비 건립을 요청했다. 서울시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내년 노들섬 완공 후 재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역사적 사건이고 인권교육적 차원에서도 위령비 건립이 의미가 있다는 점은 동감한다"면서도 "반대 의견도 있고 공사도 시작될 시점이라 내년 완공 후 구체적으로 협의해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강인도교 폭파사건은 인명피해도 컸지만 책임소재도 뚜렷하게 밝혀지지 못해 재조명이 시급하다는 평가다. 위령비 건립을 비롯한 추모사업을 더 이상 미뤄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크다. 한강대교 건립 100주년을 맞은 올해가 최적기라는 지적도 많다.

10년째 합동위령제를 주관하고 있는 평화재향군인회 김기준 대표는 "국가의 잘못으로 1000명 가까운 서울시민이 목숨을 잃은 역사적 현장을 제대로 보존하고 후손에게 알려야 이런 어처구니 없는 잘못이 되풀이되지 않는다"며 "정부나 서울시가 나서 한강대교 건립 100주년인 올해 위령비를 건립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