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위안부 피해 할머니 "한일합의 폐기" 靑에 요구

머니투데이 방윤영 기자 2017.09.13 18:07
글자크기

정대협 "文 대통령, '한일합의' 문제 해결해달라" 공개요구안 제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앞 줄 왼쪽), 김복동 할머니가 13일 오후 한일합의 폐기와 화해치유재단 해산 등 내용을 담은 공개요구서를 제출하기 위해 청와대로 행진하고 있다./사진=뉴스1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앞 줄 왼쪽), 김복동 할머니가 13일 오후 한일합의 폐기와 화해치유재단 해산 등 내용을 담은 공개요구서를 제출하기 위해 청와대로 행진하고 있다./사진=뉴스1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가 청와대에 2015년 한일합의 폐기를 골자로 한 공개 요구안을 전달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13일 김복동·길원옥 할머니와 '2015년 한일합의 폐기', '화해치유재단 해산과 10억엔(약 102억원) 반환' 등을 내용으로 공개요구안을 청와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날은 1992년 1월8일 정기 수요집회를 시작한 지 1300번째 되는 날이기도 하다.

윤미향 정대협 대표는 "박근혜 정부는 2015년 한일합의를 발표하고 화해치유재단을 만들어 피해자들에게 폭력적인 방법으로 일본의 위로금을 전달했다"며 "아베-박근혜 정권은 제대로 된 사죄 없이 법적 배상금도 아닌 정체조차 불분명한 10억엔으로 면죄부를 거래했다"고 말했다.



이어 요구안 전달 취지로 "문재인 대통령은 당선 전부터 '한일합의' 재협상 또는 무효화를 공약으로 밝혀 왔지만 정부 출범 4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어떠한 조치도 취하고 있지 않다"며 "이 문제가 하루빨리 해결돼 할머니들이 해방을 맞을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정대협은 이날 일본대사관에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1억인 서명운동' 2차 서명지도 전달했다. 세계 155개국 약 200만명이 일본군 성노예 문제 해결을 바란다며 서명한 내용이다.



이날 김 할머니와 길 할머니 등은 경찰에서 제공한 차량에 탑승해 청와대로 향했다. 정기 수요집회 참가자 150여명도 함께 했다. 이들은 서울 종로 옛 일본대사관에서 광화문광장·청운동주민센터를 거쳐 효자치안센터 앞까지 행진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