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이주열 총재의 금리인상 시나리오

머니투데이 유엄식 기자, 권혜민 기자 2017.09.06 16:14
글자크기

북핵‧사드 등 하반기 성장경로 ‘악재’…시장 연내 금리인상 전망 약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며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며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내심 구상한 연내 금리인상 시나리오가 흔들리고 있다. 대내외 경제 상황이 이 총재가 금리인상 전제 조건으로 내건 ‘뚜렷한 성장세’로 보기 어려운 상황으로 흘러가서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홍콩상하이은행(HSBC)는 지난달 31일 한은 8월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회의 이후 “연내 한은 통화정책 변경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올해 남은 10월, 11월 금통위 회의에서 1.25% 기준금리가 그대로 유지될 것이란 의미다.



HSBC는 한은이 북한 핵·미사일 실험을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로 경기 하방리스크가 증가했다고 평가한 점과 “정부 가계부채 대책이 효과를 볼 경우 통화정책 조정의 시급성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이 총재 발언에 주목했다.

지난 6월 이 총재가 부임 후 처음으로 금리인상 가능성을 거론하자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은 잇따라 한은 금리인상 전망 시기를 앞당겼다. 애초 내년 하반기를 점쳤던 골드만삭스는 1분기로, 2분기로 봤던 바클레이즈도 1분기로 바꿨다.



일부 국내 투자기관에서 올해 10~11월 금리인상 가능성도 거론됐다. 그러나 8월 통화정책회의에서 별도 소수의견 없었고 이 총재가 기자회견에서 연내 인상론의 불쏘시개가 될 메시지를 주지 않자 힘을 잃는 모습이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더딘 민간소비 회복, 부동산·가계부채 대책 효과 확인 필요성, 북한 리스크 등을 고려하면 연내 한은 기준금리 인상은 어렵다”고 예상했다.

8월 이후 국내 경기 흐름이 낙관론에서 비관론으로 옮겨가는 분위기도 주목된다.


북한 리스크로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졌고,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갈등 중인 중국과의 교역 위축도 예상보다 충격이 크다. 자동차, 화장품 중국 내수 판매량이 급감했고 중국인관광객도 눈에 띄게 줄었다. 올 2분기 성장률이 0.6%에 그친 가장 큰 이유다.

이대로라면 하반기 정부 11조원대 추경 효과를 고려해도 연간 3% 성장이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은 분석 결과 남은 3·4분기 성장률이 평균 0.77%여야 3% 성장률이 가능하다.



흔들리는 이주열 총재의 금리인상 시나리오
한은이 7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8%로 높일 때만 하더라도 올해 3% 성장 기대감이 높았다. 이 전망에 추경 효과를 반영하지 않았고 새 정부 출범 이후 산업활동, 소비심리, 기업경기지수 등 지표도 개선된 까닭이다. 그러나 지난달부터 경기를 악화시킬 수 있는 북한 핵실험, 사드 배치 등 부정적 요인이 부각되자 분위기가 나빠졌다.

다만 이 총재가 연내 금리인상 여지를 남겼다는 평가도 있다. 그가 “국내경제가 당분간 개선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인식을 나타냈고, 금리인상 조건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다.

이 총재는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고 물가도 목표 수준에 안착된다면 뚜렷한 성장세라는 기준에 어느 정도 충족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그런 흐름이 지속적이냐는 판단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은이 추정한 국내 잠재성장률은 2.8~2.9%, 2016~2018년 중기 물가안정목표제는 2%다. 올해와 내년 경기 흐름이 이렇게 간다는 확신이 생긴다면 연내 금리인상도 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한은이 10월 경제전망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더 높인 뒤 올해 마지막 11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회자되는 이유다.

이미선 하나투자증권 연구원은 “8월 만장일치 동결로 결정됐지만 정부 부동산 대책 등을 감안하면 한은 내부에선 이미 기준금리 인상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11월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 있어 지금 시점에서 한은이 북한 리스크를 변수로 연내 인상을 안할지는 모르는 일”이라고 했다.

향후 금리인상 시점과 함께 횟수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다. 오랜 저성장·저물가 현상을 고려하면 한은이 금리인상을 하더라도 1~2회에 그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국내 기준금리가 2%대를 회복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의미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