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DDT 검출 산란계 농장 토양 조사…직접 살포 아닌듯

뉴스1 제공 2017.08.22 15:20
글자크기

"기준치 이내로 안전…수십년전 살포 가능성"

(세종=뉴스1) 김현철 기자,이진성 기자 =
계란에서 기준치 이내의 DDT가 미량 검출된 한 산란계 농장의 닭들 © News1 최창호 기자계란에서 기준치 이내의 DDT가 미량 검출된 한 산란계 농장의 닭들 © News1 최창호 기자


정부가 맹독성 살충제인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DDT)'이 발견된 경북 영천과 경산 산란계 농장의 토양에 대해 정밀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르면 다음주께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22일 "DDT가 검출된 경북 2곳 산란계 농장의 토양 시료를 어제(21일) 채취해 정밀검사 중"이라고 밝혔다.



보통 시료 검사는 72시간 내에 완료된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정확한 추적조사를 통해 이들 농장 계란에서 검출된 미량의 DDT 성분이 직접 살포에 의한 것인지, 오래전부터 토양에 남아 있던 성분을 통해 닭에 옮겨진 것인지 파악할 계획이다.

앞서 이번 살충제 계란 사태 전수조사 과정에서 경북 친환경 인증 산란계 농장 2곳에서 DDT가 기준치 이내로 검출된 사살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정부는 기준치 이내여서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DDT는 인체에 흡수되면 암은 물론 감각이상, 마비, 경련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맹독성 농약이다. 국내에선 1979년부터 사용이 금지됐다.

이들 농가에서는 DDT 성분이 기준치(0.1mg/kg)를 밑도는 각각 0.028·0.047mg/kg이 검출됐다. 방역당국은 DDT의 반감기가 수십 년으로 긴 데다 1970년대까지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점 등을 미뤄볼 때 DDT가 남아 있던 토양을 통해 닭의 체내로 흡수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실제로 DDT가 검출된 농장 2곳은 넓은 마당에 자유롭게 풀어놓고 닭을 기르는 '동물복지농장'이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